- 과학향기 for Kids
- 에피소드
에피소드
[과학향기 for kids] 벼락 맞아도 멀쩡, 오히려 이득 보는 나무가 있다?
<KISTI의 과학향기> 제3154호 2025년 05월 12일우르릉 쾅! 천둥소리와 함께 하늘에서 번쩍이며 내리치는 벼락은 수백만 볼트의 전기를 품고 있어요. 그래서 벼락을 맞으면 사람은 물론이고 나무도 큰 피해를 입습니다. 벼락에 맞은 나무는 불이 붙어 타거나, 나무에 있던 물이 끓으면서 잎과 조직이 파괴돼 결국 죽고 맙니다. 해마다 수억 그루의 나무가 벼락에 맞아 죽는다고 해요.
그런데! 벼락을 맞아도 끄떡없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더 잘 자라는 나무가 처음으로 발견됐어요. 대체 어떤 나무일까요?
사진 1. 나무가 벼락을 맞으면 불이 붙고, 잎과 조직이 파괴돼 죽게 된다. ⓒshutterstock
벼락 맞고 혼자만 살아남는 나무
미국 캐리생태계연구소 연구팀은 파나마의 열대우림에서 벼락이 생명체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연구하고 있었어요. 그러다 우연히 주변 나무 수십 그루가 죽을 만큼 강력한 벼락이 쳤는데도 혼자 멀쩡히 살아남은 나무를 발견했어요. 이 나무가 바로 오늘의 주인공, 중앙아메리카 열대우림에 사는 ‘알멘드로 나무(Dipteryx oleifera)’입니다. 이후에도 연구팀은 알멘드로 나무들이 벼락을 맞고 살아남는 모습을 여러 번 목격했고, 이 신기한 나무에 대해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했어요.
연구팀은 2014년부터 2019년까지 언제, 어떤 나무가 벼락을 맞았는지, 벼락을 맞은 나무는 어떤 피해를 입었는지 꼼꼼히 기록했어요. 특히 벼락을 직접 맞은 알멘드로 나무 9그루와 다른 나무 84그루를 비교했죠. 그 결과, 알멘드로 나무는 아주 적은 피해만 입고 모두 살아남았어요. 반면 다른 나무들은 벼락에 맞은 뒤 심각한 손상을 입어 64%가 2년 안에 죽었어요.
더 놀라운 사실도 있어요. 벼락을 맞은 알멘드로 나무는 멀쩡했지만, 주변 나무들이 감전돼 죽었다는 거예요. 알멘드로 나무의 줄기와 가지로 전기가 흐르면서 주변 나무들을 감전시킨 거죠. 평균 9.2그루의 주변 나무들이 감전돼 죽었어요. 심지어 알멘드로 나무에 기생하던 덩굴 식물들도 같이 감전돼 78%나 사라졌답니다.
일부러 벼락 맞도록 진화했다?
주변 나무들이 줄어들면 햇빛도 더 많이 받고, 넓은 공간에서 쑥쑥 자랄 수 있겠죠? 실제로 알멘드로 나무는 주변 나무보다 약 4m 더 크고, 씨앗도 14배나 더 많이 남길 수 있다고 해요.
그래서 과학자들은 알멘드로 나무가 일부러 벼락을 맞도록 진화했을 수 있다고 보고 있어요. 벼락은 주로 높고 뾰족한 물체에 떨어지는데요, 알멘드로 나무는 다른 나무보다 키가 크고, 물이 흐르는 통로가 길어서 벼락에 맞을 확률이 68%나 더 높다고 해요. 원래 벼락에 맞을 확률은 희박한데, 연구팀이 관찰한 5년 동안 한 알멘드로 나무는 무려 두 번이나 벼락을 맞았어요. 물론 두 번 다 멀쩡히 살아남았죠.
보통은 생명을 위협하지만, 알멘드로 나무에는 벼락이 성장과 번식의 기회가 될 수 있다니 너무 신기하죠? 앞으로 과학자들은 알멘드로 나무가 어떻게 벼락을 견디는지, 비슷한 능력을 가진 다른 나무들도 있는지 더 깊이 연구할 계획이랍니다.
※ 교과서 연계 - 이번 과학향기 에피소드는 어떤 교과 단원과 관련돼 있을까?
4학년 1학기 과학 - 식물의 한살이
5학년 2학기 과학 - 날씨와 우리 생활
4학년 1학기 과학 - 식물의 한살이
5학년 2학기 과학 - 날씨와 우리 생활
글: 오혜진 동아에스앤씨 기자, 일러스트: 감쵸 작가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과학향기 for Kids] 영국에서 미국까지 ‘똥’으로 여행할 수 있을까?
- 날씨가 점점 따뜻해지면서 여행하기 좋은 계절이 다가오고 있어요. 자전거나 자동차를 타고 가까운 곳으로 떠날 수도 있지만, 비행기를 타고 다른 나라로 가는 독자들도 있겠죠? 그런데 비행기가 지구를 아프게 한다는 사실, 알고 있나요? 비행기는 석유의 불순물을 제거해 만든 ‘등유’를 연료로 사용해요.
-
- [과학향기 for Kids] 나무 뗏목 타고 8000km 항해? 태평양을 건넌 이구아나의 대모험
- 여러분은 친구나 가족과 여름에 래프팅을 해본 적 있나요? 래프팅은 보트를 타고 노를 저어 계곡이나 강을 건너는 스포츠인데요. 사실 래프팅은 아주 오래 전, 사람들이 통나무 뗏목을 타고 강이나 하천을 건너던 것에서 시작됐어요. 그런데 만약 보트도 없이 나무 뗏목을 타고 거센 바다를 떠다닌다면 어떨까요? 오늘 소개할 주인공은 바로 뗏목을 타고 지구 대모험...
-
- [과학향기 for Kids] 한반도가 두 겹의 이불을 덮었다? 38도 넘는 폭염의 이유
- 햇볕은 뜨겁고 땀은 줄줄 나고, 에어컨 없이는 5분도 버티기 힘든 날씨예요. 서울을 비롯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38~39℃가 넘는 찜통 더위가 이어지고 있는데요. 요즘처럼 33℃ 이상의 더위로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날씨를 ‘폭염’이라고 해요. 폭염이 계속되면 사람도 지치고, 동물도 힘들고, 농작물도 피해를 입습니다. 여름은 원래 더운 게 맞지만, ...
이 주제의 다른 글
- [과학향기 Story] 뱀이 뼈를 먹어도 괜찮은 이유, 장 속 이 세포 덕분?
- [과학향기 Story] 머리카락처럼 뭉쳐서 제거한다...혈전 치료의 혁신
- [과학향기 for Kids] 한반도가 두 겹의 이불을 덮었다? 38도 넘는 폭염의 이유
- [과학향기 for Kids] 파라오의 저주로 백혈병 치료제를 만든다?
- [과학향기 for Kids] <쥬라기 월드: 새로운 시작> 속 가짜 공룡을 찾아라!
- [과학향기 for Kids] 춤추는 앵무새, 드럼 치는 침팬지… 동물들도 박자를 느낀다?
- [과학향기 Story] 잊혀진 이름, 호국영령 신원 밝히는 유해발굴감식단
- [과학향기 Story] 체중을 줄이고 싶다고? 이 아미노산 하나 빼 봐!
- [과학향기 for Kids] 수백 번 뱀에게 물린 덕에 해독제 개발?
- [과학향기 Story] ‘폭싹 속았수다’ 속 제주 해녀, 유전자부터 달랐수다
ScienceON 관련논문
좋은 정보 잘 봤습니다. 나무에 번개 맞으면 값어치 올라는 가는 대추나무만 알았는데... 재미있게 잘 읽었습니다.
2025-05-17
답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