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for Kids
- 에피소드
에피소드
[과학향기 for Kids] 밀렵꾼에게 쫓기는 코뿔소를 지키는 방법은?
<KISTI의 과학향기> 제3175호 2025년 08월 18일여러분은 코뿔소하면 어떤 모습이 가장 먼저 떠오르나요? 거대한 뿔로 침입자를 막아내는 용맹한 모습을 떠올릴 텐데요. 그런데 코뿔소는 이 뿔 때문에 사냥꾼들에게 위협을 받고 있답니다. 사냥꾼들은 왜 코뿔소의 뿔을 노리는 걸까요?
코뿔소 뿔이 건강에 좋다고?
코뿔소는 보통 1~3개의 뿔을 가지고 있어요. 뿔은 단단한 뼈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사람의 손톱이나 머리카락을 만드는 성분인 ‘케라틴’으로 이뤄져 있죠. 뿔의 중심부에는 칼슘과 멜라닌이 풍부해 우리 손톱보다 훨씬 단단하답니다. 이렇게 크고 단단한 뿔 덕분에 코뿔소에게 덤비는 맹수는 거의 없어요. 그래서 코뿔소는 천적 없이 평화로운 나날을 보낼 수 있었죠.
그런데 베트남, 중국 등 일부 지역에선 코뿔소의 뿔이 건강에 좋다고 잘못 알려져 있는데요. 정작 코뿔소의 뿔을 이루고 있는 케라틴에는 특별한 효능이 없습니다. 코뿔소 보호 단체에선 이 사실을 꾸준히 알리고 있지만, 여전히 밀렵꾼들은 사냥을 멈추지 않고 있어요. 그로 인해 코뿔소는 멸종위기에 처해있답니다.
뿔을 잘라 코뿔소를 지킨다?
사람들은 코뿔소 밀렵을 막기 위해 감시용 드론 등으로 보호구역의 순찰을 강화하고, 뿔 거래를 단속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고 있어요. 그중에서도 가장 독특한 방법은 코뿔소의 뿔을 잘라내는 것입니다. 코뿔소에게 뿔이 없다면, 사냥꾼들이 코뿔소를 해치지 않으리라 생각한 것이죠. 다행히 뿔은 케라틴으로 이뤄져 있기에, 너무 짧게만 자르지 않으면 다시 자라난답니다. 그렇다면, 뿔을 잘라낸 후 정말 밀렵이 줄어들었을까요? 남아프리카공화국 넬슨만델라대학교 연구팀이 야생동물 보호구역을 조사한 결과, 코뿔소 뿔을 자른 후 코뿔소 밀렵이 78%나 줄어든 것을 확인했답니다.
이렇게 코뿔소 뿔을 잘라냄으로써 코뿔소를 손쉽게 보호할 수 있을 것 같지만, 꼭 그런 것은 아니었어요. 2023년 스위스 뇌샤텔대 생물학연구소의 조사에 따르면, 뿔이 잘린 코뿔소들은 서식 범위가 최대 82% 줄어들었거든요. 심지어 뿔이 없을 때 서로를 피하며 교류가 37%나 감소했어요. 즉, 당장은 밀렵으로부터 안전할 수 있지만 길게 보면 코뿔소에게 나쁜 영향을 주는 셈이에요. 또한 뿔이 자라도록 남겨둔 부분을 노리는 사냥꾼이 여전히 존재하고, 코끼리 등 뿔이 달린 다른 동물들이 밀렵의 대상이 되는 만큼 완벽한 해결책은 아니에요.
그래서 최근에는 뿔을 없애는 대신 다른 실험을 진행하고 있어요. 바로 코뿔소의 뿔에 방사성 물질을 주입하는 거예요. 코뿔소에게는 전혀 해가 되지 않을 양의 방사성 물질을 넣으면, 뿔의 가치가 떨어져요. 또 누군가 코뿔소의 뿔을 몰래 팔아도, 방사성 물질 덕분에 쉽게 범인을 잡을 수 있답니다.
이처럼 코뿔소를 지키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는데요. 사람들이 코뿔소에게 꾸준히 관심을 갖고 지켜준다면, 코뿔소가 멋진 뿔을 뽐내며 초원을 안전하게 누빌 수 있게 될 거예요.
※ 교과서 연계 - 이번 과학향기 에피소드는 어떤 교과 단원과 관련돼 있을까?
3학년 2학기 과학 - 동물의 생활
5학년 2학기 과학 - 생물과 환경
3학년 2학기 과학 - 동물의 생활
5학년 2학기 과학 - 생물과 환경
글 : 남예진 동아에스앤씨 기자, 일러스트 : 감쵸 작가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과학향기 for Kids] 밀렵꾼에게 쫓기는 코뿔소를 지키는 방법은?
- 여러분은 코뿔소하면 어떤 모습이 가장 먼저 떠오르나요? 거대한 뿔로 침입자를 막아내는 용맹한 모습을 떠올릴 텐데요. 그런데 코뿔소는 이 뿔 때문에 사냥꾼들에게 위협을 받고 있답니다. 사냥꾼들은 왜 코뿔소의 뿔을 노리는 걸까요? 사진 1. 코뿔소는 단단한 뿔 덕분에 사람을 제외하곤 천적이 없는 편이다. ⓒShutterstock 코뿔소 뿔이 건강에...
-
- [과학향기 for Kids] 74살에도 엄마가 된 새가 있다? 앨버트로스 ‘위즈덤’
- 새는 얼마나 오래 살까요? 종에 따라 다른데요, 2~3년밖에 살지 못하는 새도 있고, 수십 년간 사는 새도 있습니다. 오래 사는 새 중 가장 유명한 종은 ‘앨버트로스’예요. 앨버트로스는 보통 50년 이상 사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중 ‘지혜’라는 뜻의 영어 ‘위즈덤(wisdom)’이라는 이름이 붙은 앨버트로스는 무려 74세로, 현재 세계에서 가...
-
- [과학향기 for Kids] 지금은 빅데이터 시대! 빅데이터란 무엇일까?
- 흔히 우리가 살고 있는 현재를 4차 산업혁명의 시대, 또는 빅데이터 시대라고 합니다. 새로운 기술과 사회의 발전에 빅데이터가 큰 역할을 하고 있고, 데이터가 중요하다는 말이 여기저기서 들려오곤 하죠. 그런데 아직도 빅데이터가 무엇인지, 데이터와 빅데이터의 차이는 무엇인지 잘 모르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데이터가 많으면 빅데이터일까요? 빅데이터에 대해 알...
이 주제의 다른 글
- [과학향기 Story] 치매 정복 한 걸음 더…세계 최대 단백질 데이터 완성
- [과학향기 Story] 뱀이 뼈를 먹어도 괜찮은 이유, 장 속 이 세포 덕분?
- [과학향기 Story] 머리카락처럼 뭉쳐서 제거한다...혈전 치료의 혁신
- [과학향기 for Kids] 파라오의 저주로 백혈병 치료제를 만든다?
- [과학향기 for Kids] <쥬라기 월드: 새로운 시작> 속 가짜 공룡을 찾아라!
- [과학향기 Story] 잊혀진 이름, 호국영령 신원 밝히는 유해발굴감식단
- [과학향기 for Kids] 춤추는 앵무새, 드럼 치는 침팬지… 동물들도 박자를 느낀다?
- [과학향기 Story] 체중을 줄이고 싶다고? 이 아미노산 하나 빼 봐!
- [과학향기 Story] ‘폭싹 속았수다’ 속 제주 해녀, 유전자부터 달랐수다
- [과학향기 for Kids] 수백 번 뱀에게 물린 덕에 해독제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