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for Kids
- 동영상
동영상
'동영상' 에는 총 30 건의 글이 등록되어 있습니다.
RSS
리스트 형태 목록
- 좋아요3 다리로 걸어 다니냐고요? 아뇨, 맛보는데요!
- KISTI의 과학향기 제1945호2025년 05월 05일
- 보통 물고기는 물속에서 지느러미로 헤엄쳐 움직이죠. 그런데 다리가 달려있어 마치 게처럼 바닷속을 걸어 다니는 특이한 물고기가 있어요. 바로 ‘성대’라는 물고기입니다. 물고기 이름이 ‘성대’라니, 이름부터 특이하죠? 부레를 이용해 “꾸욱꾸욱”하는 소리를 낸다고 해서 성대라는 이름이 붙었어요. 생김새는 더 독특한데, 가슴에 새의 날개처럼 생긴 지느러미 2개가 붙어 있고 그 아래에 게처럼 생긴 다리 6개가 달려 있어요. 지느러미로 헤엄치고, 다리로 바닥의 모래 위를 걸어 ...
- 좋아요2 당신의 모공, 들여다보면 놀랄지도 몰라요
- KISTI의 과학향기 제1944호2025년 04월 21일
- 1841년, 독일 해부학자인 제이콥 헨레는 현미경으로 귀지를 관찰하고 있었는데 정말 놀랍게도 작고 지렁이 같은 생물체가 눈에 띄었습니다. 곧, 과학자들은 이 작은 동물이 사실 거미류라는 것을 알아냈어요. 그들은 오늘날 진드기 과에 속한다고 알려져 있고 과학자들은 모낭 진드기라고 이름을 붙였습니다. 이들은 100가지 종이 넘고 포유류의 모낭 근처에서 살아갑니다. 이들 중 모낭충과 브레비스는 특히 인간의 모낭에 서식합니다. 그저 몇몇 사람들만이 아닙니다. 지구상의 거...
- 좋아요1 곤충들이 불빛을 향해 날아가는 이유는 '착각' 때문이다?!
- KISTI의 과학향기 제1943호2025년 04월 07일
- 추운 겨울이 지나고 점점 봄이 다가오고 있어요. 날이 풀리면서 주변에서 점점 곤충들이 보이기 시작하는데요. 밤이 되면 가로등이나 전구 같은 불빛 주위로 작은 날벌레들이 몰려드는 모습을 볼 수 있어요 그런데 곤충들은 왜 불빛에 모여드는 걸까요? 과학자들은 이 질문에 다양한 대답을 내놨어요. 어떤 과학자는 곤충이 밝은 곳을 향해 날아가는 ‘본능’이 있다고 주장했고, 또 어떤 과학자는 곤충이 조명에서 나오는 밝은 빛에 눈이 멀어서 빛에 모여든다고 설명했어요. 빛에서 나오는 따뜻한 ...
- 좋아요2 도도새가 멸종한 진짜 이유
- KISTI의 과학향기 제1942호2025년 03월 24일
- 일반적으로 도도새는 멍청하고 둔하며 환경에 적응하지 못해 멸종할 운명이었기에 인간에게 아무 저항도 하지 못한 채 멸종된 새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건 사실이 아닙니다. 그럼 실제로는 어떤 새들이었으며, 멸종한 진짜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들의 기원부터 살펴봅시다. 지금으로부터 이천만 년 이상 시간을 뒤로 돌려 보죠. 동남아시아에서 열대 비둘기 몇 마리가 인도양을 가로질러 날아갔습니다. 이 섬 저 섬을 옮겨 다니며 조금씩 이동했겠죠. 마다가스카르 동쪽 외딴 군도에 결국 그들의 후손...
- 좋아요2 밤을 새우면 뇌에서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 KISTI의 과학향기 제1941호2025년 03월 17일
- 이제 로마 제국 역사 시험만 끝내면 봄 방학이 여러분들을 기다리고 있어요. 그런데 아직 공부할 게 산더미처럼 남았네요! 그래서 이전에 많은 학생들이 그래왔던 것처럼, 밤샘 공부를 하기로 결심하죠. [시험 16시간 전] 우리가 밤을 새우면 우리 몸의 자연스러운 생체 리듬에서 벗어나게 됩니다. 생체 리듬은 주기적인 변화로서 사실상 모든 생명체가 24시간을 주기로 경험합니다. 예를 들어 수면과 각성이 있으며, 빛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하지만 지금 여러분은 깨어 있고...
- 좋아요4 지구를 살리는 비행기 연료의 정체는... 바로 똥?!
- KISTI의 과학향기 제1940호2025년 03월 10일
- 보통 비행기는 석유의 불순물을 제거해 만든 ‘등유’를 연료로 사용하는데요. 최근 영국의 한 기업에서 ‘똥’으로 비행기 연료를 만들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KISTI 캐릭터 등장하는 애니메이션 삽입 후 내레이터 음성으로 “KISTI의 과학향기” 똥으로 연료를 만든다니, 조금 황당한 이야기처럼 들리죠? 우리가 배설한 똥과 오줌은 하수 처리장에서 모입니다. 그리고 처리 과정에서 ‘하수 슬러지’가 발생하는데요. 영국 ‘파이어플라이 그린 퓨얼스’의 연구팀은 하수 슬러지에 높은 온도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