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for Kids
- 에피소드
에피소드
[과학향기 for Kids] 2025년, 푸른 뱀의 해…뱀은 어떤 동물일까?
<KISTI의 과학향기> 제3126호 2025년 01월 06일어느덧 2025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올해는 기다란 몸으로 기어 다니며, 먹잇감을 단숨에 삼켜버리는 ‘푸른 뱀’의 해인데요. 뱀은 무서운 포식자지만, 다른 동물들과 달리 신기한 점도 많습니다. 푸른 뱀의 해를 맞아 뱀에 대한 놀라운 사실을 살펴보고, 푸른 뱀이 정말로 있는지도 알아봅시다.
뱀이 다리 없이도 빠른 이유는?
뱀은 다른 동물들과 달리 다리나 날개가 없습니다. 그런데도 뱀은 우리가 천천히 걷는 속도로 움직일 수 있어요. 심지어 몇몇 뱀은 자전거와 비슷한 속도까지 낼 수 있답니다. 이 비결은 바로 뱀의 독특한 이동 방법 덕분이에요.
그런데 몇몇 뱀들은 사막에 살면서도 엄청난 속도로 이동하는데요. 그 비결은 바로 대각선으로 이동하는 것입니다. 사막에 사는 뱀들은 머리를 수직으로 굽혔다가 앞으로 밀어내면서 대각선으로 이동합니다. 이 방식으로 이동하면 뜨거운 모래에 최대한 적게 닿으면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답니다.
한입에 꿀꺽, 입을 크게 벌리는 비결!
우리는 음식을 베어 먹지만, 뱀은 음식을 통째로 삼켜버립니다. .이는 뱀의 턱이 사람의 턱과 조금 다른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이에요 우선 뱀의 턱은 위턱과 아래턱의 연결 뼈가 고정돼 있지 않습니다. 그 덕분에 입을 150도까지 벌릴 수 있어요.
사진 3. 뱀은 위턱과 아래턱의 연결 뼈가 고정돼 있지 않아 입을 크게 벌릴 수 있다. ⓒshutterstock
또한 사람의 턱뼈는 1개로 이뤄져 있지만, 뱀의 아래턱뼈는 2개로 이뤄져 있습니다. 특히 이 아래턱뼈는 인대로 연결돼 있어 좌우로 분리되는 덕분에 입을 더 크게 벌릴 수 있어요. 이렇게 독특한 턱 구조 덕분에 뱀들은 몸집보다 몇 배나 큰 먹이도 서슴없이 삼키며, 몇몇 뱀은 악어나 사슴, 심지어 사람까지 먹어 치울 수 있어요. 또한 알을 먹어 치우는 뱀들은 알을 깨뜨리지 않고 통째로 삼킬 수 있습니다.
푸른 뱀은 정말 있을까?
야생에는 푸른색 뱀이 실제로 있습니다. 하지만, 그 종류가 많지는 않은데요. 이는 초록색, 갈색으로 뒤덮인 숲이나 초원에선 푸른색이 눈에 띄기 때문이에요. 눈에 띄는 색은 먹잇감에 몰래 접근하기 어렵게 만들고, 포식자의 눈에도 쉽게 띈다는 단점을 가집니다. 그런데도 눈에 띄는 색을 가지는 이유는 짝짓기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독이 있음을 경고할 수 있기 때문이죠.
재밌는 사실은 동물들의 몸에는 분홍색, 주황색, 황록색 등 다양한 색소가 있지만, 푸른색 색소는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는 점이에요. 파란색 색소를 가진 동물은 극소수에 불과하다고 해요. 그렇다면 파란색 동물들은 색소도 없이 어떻게 푸른색을 내는 걸까요? 그 비결은 바로 독특한 ‘구조’와 ‘빛의 반사’에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시로 ‘모르포나비’의 경우 날개의 비늘이 기와지붕처럼 겹쳐 있어, 파란색 빛을 반사합니다. 그 덕분에 각도에 따라 전혀 다른 색으로 보인답니다. 새와 물고기, 푸른 뱀도 독특한 구조를 활용해 푸른색을 내는 거랍니다.
이렇게 뱀에 대한 신기한 사실들을 알아보았는데요. 올해에는 푸른 뱀의 해인 만큼, 뱀에 대해 조금 더 많이 알아가는 해가 되길 바랍니다.
2025년은 푸른뱀의 해!
내 비밀이 궁금해?
KISTI의 과학향기
※ 교과서 연계 - 이번 과학향기 에피소드는 어떤 교과 단원과 관련돼 있을까?
3학년 1학기 과학 - 동물의 한살이
3학년 2학기 과학 - 동물의 생활
3학년 1학기 과학 - 동물의 한살이
3학년 2학기 과학 - 동물의 생활
글 : 남예진 동아에스앤씨 기자, 일러스트 : EZ쌤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과학향기 for kids] 폭우와 함께 우르릉 쾅, 번쩍! 천둥 번개의 원리는?
- 7월 한 달 동안 천둥 번개를 동반한 폭우가 자주 내리고 있어요. 천둥 번개는 우리 몸을 절로 움찔하게 할 뿐만 아니라 실제로 매우 위험합니다. 지난 7월 16일, 전남 지역에는 하루에 약 4500번 벼락이 쳐 정전 등의 피해가 발생하기도 했어요. 그렇다면 천둥 번개는 어떤 원리로 생기는 걸까요? 그림 1. 폭우와 함께 천둥 번개가 자주 ...
-
- [과학향기 for Kids] 하늘에서만 똥을 싸는 새가 있다?
- 길을 걷다가 갑자기 ‘툭!’ 하고 새똥이 머리나 어깨에 떨어진 적 있나요? 새들은 나무 위에 앉아 있을 때도, 전깃줄 위에서도, 심지어 하늘을 날면서도 똥을 싸곤 해요. 왜냐하면 새는 우리처럼 화장실을 참을 수가 없거든요. 먹은 걸 소화하고 나면 바로바로 밖으로 내보내야 몸이 가벼워져서 날기 편해요. 그래서 우리가 예상치 못하게 맞을 때가 있죠. ...
-
- [과학향기 for Kids] 74살에도 엄마가 된 새가 있다? 앨버트로스 ‘위즈덤’
- 새는 얼마나 오래 살까요? 종에 따라 다른데요, 2~3년밖에 살지 못하는 새도 있고, 수십 년간 사는 새도 있습니다. 오래 사는 새 중 가장 유명한 종은 ‘앨버트로스’예요. 앨버트로스는 보통 50년 이상 사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중 ‘지혜’라는 뜻의 영어 ‘위즈덤(wisdom)’이라는 이름이 붙은 앨버트로스는 무려 74세로, 현재 세계에서 가...
이 주제의 다른 글
- [과학향기 Story] 사랑은 숨겨도 가려움은 숨길 수 없는 이유
- [과학향기 Story] 토마토의 비명에 나방이 등 돌렸다?
- [과학향기 for Kids] 하늘에서만 똥을 싸는 새가 있다?
- [과학향기 Story] 치매 정복 한 걸음 더…세계 최대 단백질 데이터 완성
- [과학향기 for Kids] 밀렵꾼에게 쫓기는 코뿔소를 지키는 방법은?
- [과학향기 Story] 뱀이 뼈를 먹어도 괜찮은 이유, 장 속 이 세포 덕분?
- [과학향기 Story] 머리카락처럼 뭉쳐서 제거한다...혈전 치료의 혁신
- [과학향기 for Kids] 파라오의 저주로 백혈병 치료제를 만든다?
- [과학향기 for Kids] <쥬라기 월드: 새로운 시작> 속 가짜 공룡을 찾아라!
- [과학향기 Story] 잊혀진 이름, 호국영령 신원 밝히는 유해발굴감식단
ScienceON 관련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