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for Kids
- 에피소드
에피소드
[과학향기 for Kids] 산타할아버지는 언제 한국에 도착할까?
<KISTI의 과학향기> 제3122호 2024년 12월 23일울면 안 돼~ 울면 안 돼~ 산타할아버지는 우는 아이에게 선물을 안 주신대~
크리스마스가 다가오면서, 거리 곳곳에서 캐럴이 울려 퍼지고 있어요. 크리스마스가 점점 더 다가오면서, 크리스마스 선물을 받을 생각에 설레기 시작합니다. 그런데 산타할아버지는 어떻게 전 세계 사람들에게 선물을 배달하는 걸까요? 그리고 언제쯤 한국에 도착해 우리에게 선물을 전달해 줄까요?
사진 1. 산타할아버지는 크리스마스 마다 전 세계 사람들에게 선물을 배달한다. ⓒ클립아트코리아
산타할아버지는 얼마나 빨리 선물을 배달할까?
먼저 산타할아버지의 속도를 알아내기 위해선 산타할아버지가 선물을 배달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집을 방문하는지 알아내야 합니다. 2024년 국제어린이재단연맹에서 조사한 바에 따르면, 전 세계에는 81억 6,000만 명의 사람들이 살고 있습니다. 이 중 아동 인구는 24.7%로, 약 20억 1,000만 명에 달합니다. 하지만, 모든 친구들이 선물을 받는 것은 아닙니다. 산타할아버지의 존재를 믿지 않는 친구들을 제외하면, 실제로 선물을 받는 사람의 수는 약 9억 명으로 줄어듭니다.
사진 2. 산타할아버지는 약 5억 가구에 선물을 배달해야 한다. ⓒ클립아트코리아
그렇다면 산타할아버지는 9억 개의 집을 방문해야 할까요? 그렇지는 않습니다. 형제나 자매가 있는 경우, 한 집에 여러 개의 선물을 배달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 이런 점들을 모두 고려하면, 산타할아버지가 방문해야 하는 집의 수는 약 5억 개로 추정된답니다.
산타할아버지는 크리스마스이브 저녁부터 크리스마스의 아침 해가 떠오르기 전까지 모든 선물을 배달해야 합니다. 만약 산타할아버지가 지구의 자전 방향과 반대로 이동하며 선물을 배달한다면, 최대 42시간 동안 선물을 배달할 수 있게 돼요. 이러한 점을 계산하면, 산타할아버지는 한 가구당 0.0003초만 머물며 선물을 배달해야 하는 셈입니다.
또한 집과 집 사이의 거리를 약 0.3㎞라고 가정한다면, 산타할아버지가 탄 썰매는 초속 992㎞로 움직여야 합니다. 이는 치타보다 무려 2만 9,000배, 소리보다도 2,895배나 빠르다고 해요. 즉 산타할아버지는 우리가 상상하는 것보다 훨씬 더 빠른 속도로 선물을 배달하는 셈이에요.
인공위성으로 산타할아버지를 추적한다?
이처럼 산타할아버지가 무척 빠른 속도로 선물을 배달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는데요. 그렇다면 과연 한국에는 언제쯤 도착할까요? 북미항공우주방위사령부(NORAD)에선 매년 크리스마스마다, 인공위성과 고출력 레이더, 제트전투기 등 첨단기술로 산타클로스의 위치를 추적하고 있습니다. 특히 산타를 추적하는 데 사용되는 정지궤도 위성에는 적외선 센서가 있어, 루돌프 코에서 나오는 적외선 신호를 포착해 산타의 여행 경로를 밝혀낸다고 해요.
사진 3. NORAD의 웹사이트에서 산타클로스의 여행 경로를 볼 수 있다. ⓒNORAD 산타 추적 홈페이지 캡처
보통 산타할아버지는 북극에서 출발해 남태평양을 거쳐 뉴질랜드와 호주를 방문합니다. 이후 아시아와 아프리카를 거쳐, 서유럽과 캐나다, 미국 등을 방문한다고 해요. 날씨에 따라 산타할아버지의 도착 시간이 바뀔 수는 있지만, 지난해에는 24일 밤 11시 20분쯤 한국에 도착했다고 해요.
NORAD의 웹사이트(https://www.noradsanta.org/ko/)나 공식 앱에서 실시간으로 산타할아버지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올해에는 과연 몇 시에 도착할지 가족이나 친구들과 함께 알아보는 것도 재밌을 것 같네요! 여러분도 모두 산타할아버지의 선물 배달을 기다리며, 즐거운 크리스마스 보내길 바랄게요! 메리 크리스마스!
산타할아버지! 한국에는 언제 오세요?
산타 추적 서비스에 물어보렴~
KISTI의 과학향기
※ 교과서 연계 - 이번 과학향기 에피소드는 어떤 교과 단원과 관련돼 있을까?
5학년 2학기 과학 - 물체의 운동
6학년 1학기 과학 - 지구와 달의 운동
5학년 2학기 과학 - 물체의 운동
6학년 1학기 과학 - 지구와 달의 운동
글 : 남예진 동아에스앤씨 기자 / 일러스트 : EZ쌤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과학향기 for Kids] 영국에서 미국까지 ‘똥’으로 여행할 수 있을까?
- 날씨가 점점 따뜻해지면서 여행하기 좋은 계절이 다가오고 있어요. 자전거나 자동차를 타고 가까운 곳으로 떠날 수도 있지만, 비행기를 타고 다른 나라로 가는 독자들도 있겠죠? 그런데 비행기가 지구를 아프게 한다는 사실, 알고 있나요? 비행기는 석유의 불순물을 제거해 만든 ‘등유’를 연료로 사용해요.
-
- [과학향기 for Kids] 나무 뗏목 타고 8000km 항해? 태평양을 건넌 이구아나의 대모험
- 여러분은 친구나 가족과 여름에 래프팅을 해본 적 있나요? 래프팅은 보트를 타고 노를 저어 계곡이나 강을 건너는 스포츠인데요. 사실 래프팅은 아주 오래 전, 사람들이 통나무 뗏목을 타고 강이나 하천을 건너던 것에서 시작됐어요. 그런데 만약 보트도 없이 나무 뗏목을 타고 거센 바다를 떠다닌다면 어떨까요? 오늘 소개할 주인공은 바로 뗏목을 타고 지구 대모험...
-
- [과학향기 for Kids] 한반도가 두 겹의 이불을 덮었다? 38도 넘는 폭염의 이유
- 햇볕은 뜨겁고 땀은 줄줄 나고, 에어컨 없이는 5분도 버티기 힘든 날씨예요. 서울을 비롯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38~39℃가 넘는 찜통 더위가 이어지고 있는데요. 요즘처럼 33℃ 이상의 더위로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날씨를 ‘폭염’이라고 해요. 폭염이 계속되면 사람도 지치고, 동물도 힘들고, 농작물도 피해를 입습니다. 여름은 원래 더운 게 맞지만, ...
이 주제의 다른 글
- [과학향기 for Kids] 한반도가 두 겹의 이불을 덮었다? 38도 넘는 폭염의 이유
- [과학향기 Story] 슈퍼컴퓨터 경쟁 가속화…한국도 전력 질주 중!
- [과학향기 Story] 물리학으로 파헤친 박수의 비밀…박수 소리로 개인 식별도 가능?!
- [과학향기 Story] 인공지능은 따라올 수 없는 능력, 시계 읽기
- [과학향기 Story] 슈퍼컴퓨팅과 생명 정보, 의료를 재설계하다
- [과학향기 Story] 정보사회 이끌 새로운 자산 ‘마이데이터’
- [과학향기 Story] 프롬프트 하나로 인간을 뛰어넘다…인공지능의 진화
- [과학향기 Story] "나도 살아야지" 짝짓기 상대를 '독'으로 마비시키는 문어가 있다?
- [과학향기 Story] 국내외 데이터 잇는 KREONET, 미래 과학기술을 부탁해!
- [과학향기 Story] 국제 협력을 통한 기술 표준화, 상생의 길을 열다
ScienceON 관련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