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for Kids
- 에피소드
에피소드
[과학향기 for Kids] 촉각으로 더 생생해지는 가상현실 세계
<KISTI의 과학향기> 제3124호 2024년 12월 30일고글을 끼고 가상현실(VR) 게임을 해본 적 있나요? 실제로 놀이공원에 가지 않아도 놀이기구를 타고 있는 듯한 짜릿함을 느낄 수 있고, 신비한 섬을 탐험하거나 우주를 여행하는 등 마치 다른 세상에 있는 듯한 생생한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VR 게임은 보통 눈으로 보고 귀로 듣는 시각과 청각에만 의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지금보다 더 생생한 VR 게임을 위해서는 또 다른 감각이 필요한데요, 바로 ‘촉각’입니다.
촉각의 세계
촉각은 우리 피부나 털이 물체에 닿으면서 느껴지는 다양한 감각을 말합니다. 강아지 털의 부드러움, 얼음의 차가움, 책이 가득 든 책가방의 무거움 등 촉감은 물체의 질감, 온도, 무게, 딱딱함과 부드러움 등을 느끼게 해줍니다.
우리가 촉각을 느낄 수 있는 이유는 피부에 촉각을 감지하는 다양한 감각 수용기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손바닥이나 손가락 끝에는 부드러움을 감지할 수 있는 수용기가 있습니다. 또 피부 깊은 곳에는 딱딱한 물체를 만졌을 때 압력과 진동을 느끼게 하는 수용기가 있답니다. 이런 다양한 촉각 수용기에서 받아들인 정보들은 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됩니다. 뇌는 이 정보를 해석해 우리가 무엇을 만지고 있는지, 그 물체가 어떤 느낌인지 등을 파악합니다.
피부에 있는 감각 수용기
- 털의 휘어짐
- 통증
- 접촉
- 진동
- 뜨거움
- 압력
가상현실에서 촉각을 느끼게 하는 햅틱 기술
촉각은 시각, 청각과 함께 우리가 주변 환경을 이해하고 상호작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렇기에 가상 현실에서도 실제와 같은 촉감을 느낄 수 있어야 현실감과 몰입감을 더할 수 있어요. 이를 위해 등장한 것이 바로 ‘햅틱’ 기술입니다.
햅틱 기술은 디지털 기기에 진동이나 힘, 충격을 일으켜 사용자가 촉감을 느끼게 하는 기술입니다. 햅틱 기술이 적용된 디지털 기기는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데요, 바로 우리가 매일 들고 다니는 스마트폰입니다. 스마트폰을 터치할 때 느껴지는 진동이 대표적인 햅틱 기술입니다. 비디오 게임을 할 때 게임 컨트롤러가 진동하는 것도 햅틱 기술의 일종이죠.
지금은 이보다 더 복잡하고 정교한 촉각을 전달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장갑이나 조끼, 수트 등을 몸이나 팔에 장착해 가상 현실에서 딱딱함, 부드러움, 무거움 등 생생한 촉각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죠.
최근에는 미국 노스웨스턴대 연구팀이 피부에 붙여 촉각을 느끼게 하는 기기를 개발했습니다. 이 기기는 19개의 작은 장치가 육각형을 이루며 배열돼 있는데요. 압력과 진동, 비틀림과 같은 감각을 전달해 주는데요, 특히 주변 환경의 시각 정보를 촉각으로 바꿔 전달합니다.
사진 4. 미국 노스웨스턴대 연구팀이 개발한 장치. 주변에 있는 장애물 등의 시각 정보를 진동이나 압력의 촉각으로 바꿔 전달해준다. ⓒJohn A. Rogers/Northwestern University
연구팀은 참가자들의 눈을 가리고 이 장치만으로 장애물을 피할 수 있는지 실험했습니다. 참가자가 장애물에 가까이 다가가면 강한 압력이 느껴져 주변에 물체가 있다는 것을 알아차릴 수 있었죠. 그래서 눈을 가린 상태에서도 능숙하게 장애물을 피할 수 있었습니다. 연구팀은 이 기기가 VR뿐만 아니라 장애인들에게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이라 말했어요. 이 기기를 이용하면 시각 장애인이 주변 환경을 인식하거나, 의족이나 의수를 착용한 사람들이 촉각을 느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 압박감...! 장애물의 기운이 느껴진다!
탓
KISTI의 과학향기
※ 교과서 연계 - 이번 과학향기 에피소드는 어떤 교과 단원과 관련돼 있을까?
5학년 1학기 과학 - 온도와 열
6학년 2학기 과학 - 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
5학년 1학기 과학 - 온도와 열
6학년 2학기 과학 - 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
글: 오혜진 동아에스앤씨 기자/일러스트: 감쵸 작가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과학향기 for Kids] 영국에서 미국까지 ‘똥’으로 여행할 수 있을까?
- 날씨가 점점 따뜻해지면서 여행하기 좋은 계절이 다가오고 있어요. 자전거나 자동차를 타고 가까운 곳으로 떠날 수도 있지만, 비행기를 타고 다른 나라로 가는 독자들도 있겠죠? 그런데 비행기가 지구를 아프게 한다는 사실, 알고 있나요? 비행기는 석유의 불순물을 제거해 만든 ‘등유’를 연료로 사용해요.
-
- [과학향기 for Kids] 나무 뗏목 타고 8000km 항해? 태평양을 건넌 이구아나의 대모험
- 여러분은 친구나 가족과 여름에 래프팅을 해본 적 있나요? 래프팅은 보트를 타고 노를 저어 계곡이나 강을 건너는 스포츠인데요. 사실 래프팅은 아주 오래 전, 사람들이 통나무 뗏목을 타고 강이나 하천을 건너던 것에서 시작됐어요. 그런데 만약 보트도 없이 나무 뗏목을 타고 거센 바다를 떠다닌다면 어떨까요? 오늘 소개할 주인공은 바로 뗏목을 타고 지구 대모험...
-
- [과학향기 for Kids] 한반도가 두 겹의 이불을 덮었다? 38도 넘는 폭염의 이유
- 햇볕은 뜨겁고 땀은 줄줄 나고, 에어컨 없이는 5분도 버티기 힘든 날씨예요. 서울을 비롯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38~39℃가 넘는 찜통 더위가 이어지고 있는데요. 요즘처럼 33℃ 이상의 더위로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날씨를 ‘폭염’이라고 해요. 폭염이 계속되면 사람도 지치고, 동물도 힘들고, 농작물도 피해를 입습니다. 여름은 원래 더운 게 맞지만, ...
이 주제의 다른 글
- [과학향기 Story] 뱀이 뼈를 먹어도 괜찮은 이유, 장 속 이 세포 덕분?
- [과학향기 Story] 머리카락처럼 뭉쳐서 제거한다...혈전 치료의 혁신
- [과학향기 Story] 물리학으로 파헤친 박수의 비밀…박수 소리로 개인 식별도 가능?!
- [과학향기 for Kids] 파라오의 저주로 백혈병 치료제를 만든다?
- [과학향기 Story] 과학적으로 '완벽한' 치즈 파스타 만들기
- [과학향기 for Kids] <쥬라기 월드: 새로운 시작> 속 가짜 공룡을 찾아라!
- [과학향기 Story] 잊혀진 이름, 호국영령 신원 밝히는 유해발굴감식단
- [과학향기 for Kids] 춤추는 앵무새, 드럼 치는 침팬지… 동물들도 박자를 느낀다?
- [과학향기 Story] 체중을 줄이고 싶다고? 이 아미노산 하나 빼 봐!
- [과학향기 Story] ‘폭싹 속았수다’ 속 제주 해녀, 유전자부터 달랐수다
ScienceON 관련논문
발전하는 가상현실에서 장애인 생활의 편리까지...무궁한 발전이 보입니다..^^
2024-12-31
답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