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for Kids
- 에피소드
에피소드
[과학향기 for Kids] 하늘에서 볼 수 있는 아름다운 커튼 ‘오로라’
<KISTI의 과학향기> 제3028호 2024년 01월 22일지난해 11월, 전 세계 곳곳에서 오로라가 관측됐어요. 오로라가 주로 관측되는 지역인 극지방 외에도 평소 오로라를 거의 볼 수 없던 러시아 남부, 유럽, 중국 북부, 일본 홋카이도에서도 오로라가 관측됐는데요. 녹색과 붉은색의 강렬한 오로라가 밤하늘 전체를 커튼처럼 덮으며 역동적이고 화려한 모습을 자아냈습니다. 최근 들어 오로라가 자주, 광범위한 지역에서 관측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오로라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살펴보면서 그 이유를 확인해 봐요.
그림 1. 최근 오로라가 자주, 광범위한 지역에서 관측되고 있다. ⓒshutterstock
오로라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오로라는 태양에서 불어오는 바람인 ‘태양풍’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태양은 핵융합 반응으로 강력한 에너지를 만들어내는데, 이때 전하를 띤 고에너지 입자들이 우주 공간으로 수없이 많이 퍼져나가요. 이를 태양풍이라고 합니다. 태양풍은 초속 1000km 이상의 속도로 2~3일 안이면 지구에 도달합니다.
오로라는 태양에서 불어오는 바람인 ‘태양풍’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태양은 핵융합 반응으로 강력한 에너지를 만들어내는데, 이때 전하를 띤 고에너지 입자들이 우주 공간으로 수없이 많이 퍼져나가요. 이를 태양풍이라고 합니다. 태양풍은 초속 1000km 이상의 속도로 2~3일 안이면 지구에 도달합니다.
지구는 하나의 자석과 같아서 주변에 자기장을 형성하고 있어요. 대부분의 태양풍 입자들은 이 지구 자기장에 막혀 흩어지지만, 일부는 자기장에 이끌려 지구 대기로 들어옵니다. 이 입자들이 공기 분자와 충돌하면서 빛을 내는 현상이 바로 오로라예요. 태양풍 입자들이 들어오는 곳이 위도 60~80도의 고위도 지역인 캐나다 북부, 핀란드, 아이슬란드 등이기에 주로 이곳에서 오로라가 관측됩니다.
그림 2. 오로라는 태양풍 입자들이 지구 자기장에 의해 지구 대기로 들어온 뒤, 질소·산소 분자와 충돌해 빛을 내는 현상이다. ⓒshutterstock
오로라는 녹색이 가장 흔하지만, 분홍색이나 보라색 등의 붉은색 등 여러 색깔로 나타나는데요, 태양풍 입자가 어떤 공기 분자와 어느 높이에서 충돌하느냐에 따라 오로라의 색깔이 달라집니다. 지구 대기의 78%는 질소, 21%는 산소로 이뤄져 있습니다. 태양풍 입자가 90~150km 높이에서 산소와 충돌하면 녹색으로, 이보다 더 높은 곳에서 충돌하면 빨간색 빛을 냅니다. 반면 고도 90km 부근에서 질소와 부딪히면 보라색을 띱니다.
올해 태양 활동 극대기, 오로라 관측 최적
그림 3. 올해는 태양 활동의 극대기로, 오로라를 더 자주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shutterstock
오로라는 태양풍과 관련이 있다 보니, 태양 활동이 활발해지면 그만큼 대전 입자가 많이 방출되고, 지구 자기장에 붙잡히는 입자가 많아져 오로라 발생 지역이 평소보다 더 넓어집니다. 태양 활동은 평균 11년을 주기로 강해졌다 약해지기를 반복하는데요, 올해가 바로 태양 활동이 가장 강해질 것으로 예측되는 시기예요. 그래서 그 어느 때보다도 강렬하고 선명한 오로라를, 평소보다 더 자주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돼요.
평소 오로라를 보고 싶었다면 올해가 오로라 관측의 최적기인 셈이죠. 다만 오로라는 고도 90km 이상의 높은 곳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므로, 구름이 끼면 오로라를 볼 수 없어요. 또 백야현상(여름에 고위도 지방에서 밤하늘이 밝은 현상)이 나타나는 여름에는 오로라 관측이 어렵습니다. 오로라 예보와 일기 예보를 확인해 일정을 짠다면, 오로라 관측 성공률을 좀 더 높일 수 있을 거예요.
※ 교과서 연계 - 이번 과학향기 에피소드는 어떤 교과 단원과 관련돼 있을까?
3학년 1학기 과학 – 지구의 모습
5학년 1학기 과학 – 태양계와 별
글: 오혜진 동아에스앤씨 기자/ 일러스트: 유진성 작가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과학향기 for Kids] 설치류, 작은 손톱 하나로 지구 정복?
- 다람쥐가 도토리를 들고 오물오물 먹는 걸 본 적 있나요? 조그만 손으로 도토리를 꼭 붙잡고 껍질을 벗기는 모습이 참 귀여운데요. 그런데 자세히 보면, 다람쥐 손가락 끝에 사람처럼 납작한 엄지 손톱이 달려 있는 걸 알 수 있어요. 손톱은 사람만 있는 거 아니냐고요? 다람쥐가 속한 설치류에게도 손톱이 있답니다. 그리고 이 작은 손톱이 바로 설치류가 지구에...
-
- [과학향기 for Kids] 지금은 빅데이터 시대! 빅데이터란 무엇일까?
- 흔히 우리가 살고 있는 현재를 4차 산업혁명의 시대, 또는 빅데이터 시대라고 합니다. 새로운 기술과 사회의 발전에 빅데이터가 큰 역할을 하고 있고, 데이터가 중요하다는 말이 여기저기서 들려오곤 하죠. 그런데 아직도 빅데이터가 무엇인지, 데이터와 빅데이터의 차이는 무엇인지 잘 모르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데이터가 많으면 빅데이터일까요? 빅데이터에 대해 알...
-
- [과학향기 for Kids] 2025년, 푸른 뱀의 해…뱀은 어떤 동물일까?
- 어느덧 2025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올해는 기다란 몸으로 기어 다니며, 먹잇감을 단숨에 삼켜버리는 ‘푸른 뱀’의 해인데요. 뱀은 무서운 포식자지만, 다른 동물들과 달리 신기한 점도 많습니다. 푸른 뱀의 해를 맞아 뱀에 대한 놀라운 사실을 살펴보고, 푸른 뱀이 정말로 있는지도 알아봅시다. 뱀이 다리 없이도 빠른 이유는? 뱀은 다른 동물들과 달리...
이 주제의 다른 글
- [과학향기 for Kids] 한반도가 두 겹의 이불을 덮었다? 38도 넘는 폭염의 이유
- [과학향기 Story] 물리학으로 파헤친 박수의 비밀…박수 소리로 개인 식별도 가능?!
- [과학향기 Story] 과학적으로 '완벽한' 치즈 파스타 만들기
- [과학향기 for kids] 벼락 맞아도 멀쩡, 오히려 이득 보는 나무가 있다?
- [과학향기 Story] 우주를 102가지 색으로 그려낼 스피어엑스
- [과학향기 Story] 기후변화가 불러온 역대급 LA 산불… 한국도 위험하다?
- [과학향기Story] 칠흑같이 깜깜한 우주…그래서 얼마나 어두운데?
- [과학향기 for Kids] 촉각으로 더 생생해지는 가상현실 세계
- [과학향기 for Kids] 거제에서 첫 발견된 스테고사우루스류 발자국!
- [과학향기 Story] 스페이스X 스타십, 집으로 돌아와 주차까지 완료!
ScienceON 관련논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