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for Kids
- 에피소드
에피소드
[과학향기 for Kids] 중독 부르는 빨간 맛, 먹어도 괜찮을까?
<KISTI의 과학향기> 제3074호 2024년 07월 01일채소, 고기, 해산물 등 각자가 좋아하는 재료를 잔뜩 넣고 원하는 맵기로 먹을 수 있는 마라탕. 여러분도 좋아하나요? 마라탕은 음식 배달 앱 검색 순위 1위를 차지할 만큼 인기가 뜨겁습니다. 떡볶이나 라면과는 달리 혀가 얼얼해지는 마라탕의 매운맛은 중독성이 강한 데다, 스트레스까지 풀리는 느낌을 주기 때문이에요. 실제로 매운 음식은 스트레스를 푸는 데 효과적이라고 하는데요, 매운맛의 비밀을 함께 파헤쳐 봅시다.
매운맛은 사실 맛이 아니다?
흔히 매운맛이라고 하면 고추의 ‘캡사이신’을 떠올리기 쉽지만, 매운맛의 종류는 우리 생각보다 다양합니다. 초밥을 먹을 때 고추냉이 때문에 코가 찡해지고, 마라탕을 먹을 때 혀가 얼얼해지는 것도 매운맛의 종류가 다르기 때문이에요. 대표적으로 마늘과 양파에 있는 ‘알리신’, 후추에 있는 ‘피페린’, 겨자나 고추냉이에 있는 ‘알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 생강에 있는 ‘진저롤’과 ‘쇼가올’, 페퍼민트에 있는 ‘멘톨’이라는 성분들이 매운맛을 냅니다.
사진 2. 고추가 매운맛의 대명사로 알려졌지만, 마늘, 고추냉이, 후추 등도 매운맛을 낸다. ⓒshutterstock
보통 우리가 음식을 먹으면, 미각세포들이 단맛, 짠맛, 신맛, 쓴맛, 감칠맛을 느끼게 해줍니다.
그런데 매운맛은 미각세포 대신 ‘온도’와 ‘고통’을 인지하는 세포가 감지해요. 그 중에서도 매운 맛 성분 중 캡사이신, 피페린, 진저롤은 화끈한 매운맛을 내 땀이 나고, 심장박동이 빨라지게 만듭니다. 반대로 알리신과 알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 멘톨은 얼얼하고 톡 쏘는 매운맛을 냅니다. 이는 캡사이신이나 알리신과 다른 감각신경을 자극해 시원한 느낌과 통증을 유발하기 때문이에요.
매운맛은 식물의 무기!
그렇다면, 식물은 어떻게 매운맛을 갖게 된 걸까요? 그건 바로 자신을 지키기 위해서입니다. 식물은 씨앗을 통해 자손을 퍼뜨립니다. 새가 열매를 먹으면 씨앗은 그대로 배출돼 먼 곳까지 퍼져나갈 수 있어요. 다만, 사람과 같은 포유류는 씨앗까지 소화하므로, 씨앗을 퍼뜨리는 데 방해됩니다. 게다가 몇몇 곤충은 식물의 잎사귀나 줄기를 파먹어, 세균과 곰팡이의 공격을 받게 만들어요. 식물은 이런 피해를 막기 위해 해충이나 포유류에게 강한 자극을 주고, 세균과 곰팡이의 공격을 막아낼 수 있는 매운맛을 갖도록 진화했습니다. 다만 새들은 이런 매운맛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여전히 씨앗을 퍼뜨리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답니다.
식물은 포유류와 곤충에게 먹히지 않으려 매운맛을 갖게 됐지만, 사람들은 오히려 매운맛이 나는 음식을 많이 섭취하는데요. 대체 어떻게 된 일일까요? 매운맛이 고통만 주는 건 아니기 때문입니다. 앞서 말했듯, 캡사이신, 피페린, 진저롤은 통각을 자극합니다. 이때 우리 뇌는 매운맛이 주는 통증을 줄이기 위해 ‘엔도르핀’과 ‘아드레날린’이라는 물질을 분비해요. 엔도르핀과 아드레날린이 분비되면 스트레스와 고통은 사라지고 쾌감만 남게 됩니다. 그래서 매운 음식을 먹으면 스트레스가 해소되는 느낌이 드는 것이죠. 게다가 매운맛은 세균과 곰팡이의 공격을 막을 수 있어, 더운 지역에서 음식을 오래 보관하고 식중독균을 잡는 데도 효과적이랍니다.
매운 음식, 많이 먹어도 괜찮을까?
이렇게 매운 음식은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고, 혈액 순환을 도와줍니다. 그렇다면, 많이 먹을수록 건강에도 좋지 않을까요? 하지만 안타깝게도 그렇지는 않답니다. 매운 음식을 너무 많이 먹게 되면 위가 자극을 받아 속이 쓰리고 배탈이 날 수 있습니다. 매운 음식을 먹으면 체온이 오르며 땀과 피지가 많이 만들어지기 때문에 여드름도 심해질 수 있어요. 심지어 청양고추보다 200배 이상 매운 ‘원칩 챌린지’를 도전하다 사망한 사람도 있다고 하니, 과도하게 매운 음식은 우리의 건강을 오히려 해칠 수 있습니다.
그동안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매운 음식을 즐겨 먹었다면, 건강을 위해서라도 다른 스트레스 해소법을 찾아보는 건 어떨까요? 가볍게 운동하거나, 친구와 함께 놀기, 사진 찍기처럼 건강을 해치지 않는 방법을 찾아봐요!
크으~ 이 맛이지!
고통일까, 기쁨일까?
KISTI의 과학향기
※ 교과서 연계 - 이번 과학향기 에피소드는 어떤 교과 단원과 관련돼 있을까?
5학년 1학기 과학 - 다양한 생물과 우리 생활
6학년 1학기 과학 - 식물의 구조와 기능
5학년 1학기 과학 - 다양한 생물과 우리 생활
6학년 1학기 과학 - 식물의 구조와 기능
글 : 남예진 동아에스앤씨 기자, 일러스트 : 감쵸 작가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과학향기 for Kids] 춤추는 앵무새, 드럼 치는 침팬지… 동물들도 박자를 느낀다?
- 여러분은 평소에 음악을 즐기시나요? 친구들과 코인 노래방에서 좋아하는 노래를 부르거나, 흥겨운 음악에 맞춰 춤을 추다 보면 시간 가는 줄 모를 때도 있죠. 그런데 동물들도 사람처럼 리듬을 느끼고 표현할 수 있을까요? 노래도 척척, 박자도 척척! 리듬 천재 새들 사람을 제외하고 리듬을 타는 동물로 알려진 것은 보통 조류입니다. 그중에서도 유명한 ...
-
- [과학향기 for Kids] <쥬라기 월드: 새로운 시작> 속 가짜 공룡을 찾아라!
- 7월 2일, 영화 <쥬라기 월드: 새로운 시작>이 개봉했어요. 하늘을 나는 프테라노돈, 물속을 헤엄치는 거대한 모사사우루스, 빠르게 뛰어다니는 벨로시랩터 등, 이번에도 다양한 중생대 동물들이 생생하게 등장해 우리의 시선을 단번에 사로잡았죠. 사진 1. 7월 2일, 영화 <쥬라기 월드: 새로운 시작>이 개봉했다. ⓒUPI 코리아 그런데, 놀랍게도...
-
- [과학향기 for Kids] 지금은 빅데이터 시대! 빅데이터란 무엇일까?
- 흔히 우리가 살고 있는 현재를 4차 산업혁명의 시대, 또는 빅데이터 시대라고 합니다. 새로운 기술과 사회의 발전에 빅데이터가 큰 역할을 하고 있고, 데이터가 중요하다는 말이 여기저기서 들려오곤 하죠. 그런데 아직도 빅데이터가 무엇인지, 데이터와 빅데이터의 차이는 무엇인지 잘 모르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데이터가 많으면 빅데이터일까요? 빅데이터에 대해 알...
이 주제의 다른 글
- [과학향기 for Kids] <쥬라기 월드: 새로운 시작> 속 가짜 공룡을 찾아라!
- [과학향기 for Kids] 춤추는 앵무새, 드럼 치는 침팬지… 동물들도 박자를 느낀다?
- [과학향기 Story] 잊혀진 이름, 호국영령 신원 밝히는 유해발굴감식단
- [과학향기 Story] 체중을 줄이고 싶다고? 이 아미노산 하나 빼 봐!
- [과학향기 for Kids] 수백 번 뱀에게 물린 덕에 해독제 개발?
- [과학향기 Story] ‘폭싹 속았수다’ 속 제주 해녀, 유전자부터 달랐수다
- [과학향기 Story] 임플란트 대신 실험실에서 키운 '내 치아' 끼운다
- [과학향기 Story] 퇴근 후 술자리는 본능일까? 침팬지에게 물어보라!
- [과학향기 for kids] 벼락 맞아도 멀쩡, 오히려 이득 보는 나무가 있다?
- [과학향기 Story] "나도 살아야지" 짝짓기 상대를 '독'으로 마비시키는 문어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