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for Kids
- 에피소드
에피소드
[과학향기 for Kids] 다리로 걷고 ‘맛집’까지 찾는 물고기가 있다?
<KISTI의 과학향기> 제3112호 2024년 11월 18일보통 물고기는 물속에서 지느러미로 헤엄쳐 움직입니다. 그런데 다리가 달려있어 마치 게처럼 바닷속을 걸어 다니는 특이한 물고기가 있습니다. 바로 ‘성대’라는 물고기입니다.
다리로 걷고 맛도 보는 북방성대
성대는 이름부터 특이한데요, 부레를 이용해 ‘꾸욱꾸욱’하는 특이한 소리를 낸다고 해서 성대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합니다. 생김새는 더 독특한데, 가슴에 새의 날개처럼 생긴 지느러미 2개가 붙어 있고 그 아래 게처럼 생긴 다리 6개를 가지고 있어요. 지느러미로는 헤엄치고, 다리로는 바닥의 모래 위를 걸어 다닙니다.
그렇다면 성대는 왜 다리가 있을까요? 그리고 이 다리를 어떻게 사용할까요? 최근 미국 하버드대와 스탠퍼드대 의대 연구팀이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냈어요. 연구팀은 수족관을 방문했다가 우연히 이 물고기를 처음 봤는데요, 다른 물고기들이 성대를 따라다니는 것을 보고 호기심을 느껴 연구를 시작했습니다.
연구팀은 성대 중에서도 미국, 캐나다 부근에 사는 북방성대(Prionotus carolinus)를 데려와 어떤 행동을 하는지 관찰했어요. 성대는 헤엄치기와 걷기를 번갈아 하면서 먹이를 찾았는데요, 신기한 건 먹이가 보이지 않아도 모래를 파서 홍합이나 조개를 찾아내곤 했습니다.
이에 연구팀은 북방성대의 다리 끝을 조사해봤어요. 그 결과, 성대의 다리에는 촉각에 민감한 신경뿐만 아니라 우리 혀에 있는 것처럼 맛을 감지하는 돌기가 있었어요. 그래서 다리로 먹잇감의 맛을 감지해 모래에 묻혀 있던 먹이를 찾아낼 수 있었던 거죠.
성대 다리의 진화
그런데 모든 종류의 성대들이 다리로 맛을 볼 수 있는 것은 아니었어요. 연구팀은 북방성대 외에 줄무늬성대(Prionotus evolans)도 연구했는데요, 줄무늬성대의 다리에는 촉감 신경이 있었지만 맛을 감지하는 돌기가 없었어요. 그래서 줄무늬성대는 모래를 파는 행동은 하지 않았답니다.
연구팀은 전 세계에 있는 13종류의 성대 유전자를 분석해 성대의 다리가 어떻게 진화했는지 살폈어요. 그 결과, 걷기 위한 다리가 먼저 생기고, 촉감과 맛을 느끼는 다리를 가진 몇몇 종의 성대가 나중에 나타난 것으로 확인됐어요. 이들은 다리의 모양도 달랐는데요, 다리로 맛을 보는 북방성대는 삽처럼 생긴 다리를 갖고 있지만, 맛을 볼 수 없는 줄무늬성대는 막대처럼 생긴 다리를 가지고 있었어요.
또 성대의 다리를 만드는 유전자는 인간을 포함한 다른 동물의 팔다리에서도 발견됩니다. 연구팀은 성대가 특정 환경에 동물이 어떻게 적응하고 진화하는지 알 수 있는 모델이 되어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바닷 속 모래톱은 나의 시식 코너지!
맛집 찾을 때 좋겠다!
KISTI의 과학향기
※ 교과서 연계 - 이번 과학향기 에피소드는 어떤 교과 단원과 관련돼 있을까?
3학년 2학기 과학 - 동물의 생활
5학년 2학기 과학 - 생물과 환경
3학년 2학기 과학 - 동물의 생활
5학년 2학기 과학 - 생물과 환경
글: 오혜진 동아에스앤씨 기자 / 일러스트: 감쵸 작가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과학향기 for kids] 벼락 맞아도 멀쩡, 오히려 이득 보는 나무가 있다?
- 우르릉 쾅! 천둥소리와 함께 하늘에서 번쩍이며 내리치는 벼락은 수백만 볼트의 전기를 품고 있어요. 그래서 벼락을 맞으면 사람은 물론이고 나무도 큰 피해를 입습니다. 벼락에 맞은 나무는 불이 붙어 타거나, 나무에 있던 물이 끓으면서 잎과 조직이 파괴돼 결국 죽고 맙니다. 해마다 수억 그루의 나무가 벼락에 맞아 죽는다고 해요. 그런데! 벼락을 맞아도 ...
-
- [과학향기 for Kids] 곤충이 인공불빛에 모여드는 이유는?
- 여름은 파리, 모기, 나방과 같은 곤충이 많아지는 계절입니다. 그만큼 밤에 가로등이나 전구 같은 인공불빛에 수많은 날벌레들이 모여드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는데요. 곤충은 왜 빛에 모여드는 걸까요? 사진 1. 여름이면 가로등 빛에 모여드는 곤충들을 쉽게 볼 수 있다. ⓒshutterstock 인공불빛에 모여드는 것은 방향 감각 상...
-
- [과학향기 for kids] 폭우와 함께 우르릉 쾅, 번쩍! 천둥 번개의 원리는?
- 7월 한 달 동안 천둥 번개를 동반한 폭우가 자주 내리고 있어요. 천둥 번개는 우리 몸을 절로 움찔하게 할 뿐만 아니라 실제로 매우 위험합니다. 지난 7월 16일, 전남 지역에는 하루에 약 4500번 벼락이 쳐 정전 등의 피해가 발생하기도 했어요. 그렇다면 천둥 번개는 어떤 원리로 생기는 걸까요? 그림 1. 폭우와 함께 천둥 번개가 자주 ...
이 주제의 다른 글
- [과학향기 for kids] 벼락 맞아도 멀쩡, 오히려 이득 보는 나무가 있다?
- [과학향기 Story] "나도 살아야지" 짝짓기 상대를 '독'으로 마비시키는 문어가 있다?
- [과학향기 for Kids] 나무 뗏목 타고 8000km 항해? 태평양을 건넌 이구아나의 대모험
- [과학향기 Story] '디저트 배'는 진짜였다! 당신 뇌 속의 달콤한 속삭임
- [과학향기 for kids] 추위에도 끄떡없어! 북극곰의 털이 얼어붙지 않는 비결은?
- [과학향기 Story] 죽음을 초월한 인간, 《미키17》이 던지는 질문
- [과학향기 for Kids] 귓바퀴의 조상은 물고기의 아가미?
- [과학향기 Story] 하루 한 두 잔은 괜찮다더니… 알코올, 암 위험 높이고 건강 이점 없어
- [과학향기 Story] 기후변화가 불러온 역대급 LA 산불… 한국도 위험하다?
- [과학향기 for Kids] 한 달 동안 똥을 참는 올챙이가 있다?
ScienceON 관련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