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스토리
스토리
[과학향기 Story] 점점 더워지는 여름, 건물 온도를 낮출 방법은?
<KISTI의 과학향기> 제3093호 2024년 09월 09일올해 여름은 기상 관측 역사상 가장 뜨거운 해였다. 올해 여름철 평균기온은 이전 최고 기록인 2018년보다 0.3℃ 높은 25.6℃를 기록했다. 심지어 폭염과 열대야도 그 어느 해보다 잦았다. 사람들은 지속된 찜통더위를 견디기 위해 건물에선 쉴 새 없이 에어컨을 가동했다. 그 결과 일별 최고 전력 수요도 97.16GW(8월 20일)로 관측 역사상 최고를 기록했다.
문제는 앞으로다. 기후변화로 여름이 점점 더 무더워지면, 냉방에 사용되는 에너지도 그만큼 늘어난다. 국제 금융기관인 세계은행은 2050년까지 냉방에 의한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이 3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지금도 건물은 전 세계 에너지의 약 40%를 소비하며, CO₂ 배출량의 약 36%를 차지한다. 앞으로 냉방 수요가 늘어나면, 전 세계 CO₂ 배출량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것이다. 최근에는 에너지 소비량을 줄이고자, 건물 자체의 온도를 낮추려는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과연 어떤 방법들이 고안되고 있는지 살펴보자.
건물의 열 흡수량은 낮추고, 열 방출량은 높이고!
미국 컬럼비아대 응용물리학과 연구팀은 건물 외벽의 구조를 바꿔 실내 온도를 낮추는 방법을 지난 8월 국제학술지 ‘넥서스’에 실었다. 지금까지 건물 온도를 낮추기 위해 지붕을 개조하는 경우가 많았다. 예시로 적외선을 방출하는 재료로 지붕을 코팅해 열을 배출하는 방식이 주로 활용됐다. 하지만 이러한 재료는 겨울철 난방비를 높이는 문제를 유발하며, 건물 측면에는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연구팀은 “적외선을 방출하는 재료는 흡수하는 특성도 지녀, 지면에서 반사된 적외선까지 흡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주변에 콘크리트 포장 지면이 많은 경우, 콘크리트에서 적외선을 방출하므로 (코팅은) 오히려 손해”라고 지적했다.
이에 연구팀은 건물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벽면의 구조를 ‘지그재그’ 형태로 바꾸는 방식을 고안했다. 우선 각 층에 ‘<’ 모양의 패턴을 적용해 윗면은 하늘을 향하도록, 아랫면은 땅을 향하도록 설계했다. 이후 윗면에는 적외선을 방출하는 코팅제를, 아랫면에는 적외선을 흡수하지 않고 ‘반사’하는 코팅제를 도포했다. 그 결과, 지그재그 형태의 벽면을 가진 건물의 온도는 일반 건물에 비해 평균 온도가 2.3℃ 더 낮았다. 가장 무더운 시간대인 오후 1~2시에는 3.1℃까지 낮아졌다.
연구를 이끈 치롱 창 연구원은 “내부 냉각 효과는 건물의 창문 크기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시뮬레이션 결과 2℃ 낮추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기존 건물 대비 최대 4분의 1까지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기존 건물도 저렴한 자재를 활용해 지그재그 형태로 개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연구팀은 겨울철 난방 에너지를 낮출 수 있는 ‘다이내믹 건물 구조’를 추가로 연구 중이다. 연구팀은 “벽면에 열을 반사하거나 흡수하는 ‘핀’을 달아 계절에 따라 각도를 조절해 겨울에는 열 흡수량을 늘리고, 여름에는 열 방출량을 높여 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린커튼으로 미관과 열 모두 잡는다?
건물 온도를 낮추기 위해 건물 외벽 구조를 바꾸는가 하면, 건물 외벽에 식물을 기르는 시도도 이뤄지고 있다. 일명 ‘그린커튼’이다. 특히 일본은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원자력 발전소 사고 난 이후, 전력 부족에 대응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그린커튼을 도입하고 있다. 그린커튼은 주로 창문이나 벽에 설치한 그물에 나팔꽃, 수세미, 오이와 같은 일년생 덩굴식물을 재배해 만든다. 2020년 일본 도쿄대 환경정보대학원 연구팀은 그린커튼이 건물 온도를 최소 0.7℃에서 최대 4.1℃까지 낮출 수 있다고 밝혔다. 그린커튼은 태양 복사에너지를 약 80% 감소시킨다. 또 식물의 증산작용을 통해, 지면의 복사열을 감소시키는 효과까지 거둘 수 있다.
이러한 효능 덕분에 국내에서도 그린커튼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예시로 경기도 수원시는 2019년부터 도서관, 경찰서, 학교 등 각종 공공기관에 그린커튼을 설치하고 있다. 특히 봄에 심은 식물이 여름철이면 외벽을 뒤덮으므로, 빠르게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그린커튼의 효과를 연구한 일본 시가현립대학교 환경과학부 카즈마 무라카미 교수는 “그린 커튼은 적은 비용으로 건물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며 “미관도 우수해, 사람들의 호응을 쉽게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기후전문가들은 유례없는 폭염에 괴로웠던 이번 여름이 앞으로 다가올 여름 중 가장 시원한 여름일 것으로 예측한다. 즉, 냉방기에 의존한다고 해도 점점 여름을 나기 어려워지는 셈이다. 그러므로 기후변화를 막아내기 어려울지 언정, 그 영향을 줄일 방법을 계속해서 모색할 필요가 있다.
열방출 / 열반사 / 건물온도!
KISTI의 과학향기
글 : 박영경 과학칼럼니스트 / 일러스트 : 유진성 작가

추천 콘텐츠
인기 스토리
-
- 소시오패스와 사이코패스 뭐가 다를까?
- 많은 사람이 최근 일어난 PC방 살인 사건이나 거제도에서 일어난 살인 사건에서 범인이 피해자를 잔혹하고 무참하게 살해하고도 전혀 가책을 느끼지 않는다는 점에 분노했다. 언론에서는 이들을 ‘소시오패스’나 ‘사이코패스’라 부르며 보통 사람과 다르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렇다면 소시오패스나 사이코패스는 무엇이 다르고 보통 사람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 걸까? ...
-
- [과학향기 Story] 토마토의 비명에 나방이 등 돌렸다?
- 기후 위기로 인한 폭우와 불볕더위로 여름마다 ‘역대급’ 더위를 겪고 있다. 연일 35도를 웃도는 기온에 사람들은 에어컨이 없으면 견디기 힘들어하고, 열사병과 온열질환 환자가 급증한다. 하지만 이런 극한의 더위는 사람만의 고통이 아니다. 가로수는 잎사귀를 말리며 생존을 위해 몸부림치고, 공원의 화단은 매일 물을 줘도 시들어 간다. 농작물은 뜨거운 햇볕에...
-
- 저주파 자극기, 계속 써도 괜찮을까?
- 최근 목이나 어깨, 허리 등에 부착해 사용하는 저주파 자극기가 인기다. 물리치료실이 아니라 가정에서 손쉽게 쓸 수 있도록 작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배터리 충전으로 반나절 넘게 작동한다. 게다가 가격도 저렴하다. SNS를 타고 효과가 좋다는 입소문을 퍼지면서 판매량도 늘고 있다. 저주파 자극기는 전기근육자극(Electrical Muscle Stimu...
이 주제의 다른 글
- [과학향기 for Kids] 한반도가 두 겹의 이불을 덮었다? 38도 넘는 폭염의 이유
- [과학향기 for kids] 벼락 맞아도 멀쩡, 오히려 이득 보는 나무가 있다?
- [과학향기 for kids] 추위에도 끄떡없어! 북극곰의 털이 얼어붙지 않는 비결은?
- [과학향기 Story] 울퉁불퉁 도로의 포트홀, 해바라기유로 고친다?
- [과학향기 Story] 우주를 102가지 색으로 그려낼 스피어엑스
- [과학향기 Story] 기후변화가 불러온 역대급 LA 산불… 한국도 위험하다?
- [과학향기 for Kids] 거제에서 첫 발견된 스테고사우루스류 발자국!
- [과학향기 for Kids] 지구에도 아름다운 고리가 있었다?
- [과학향기 Story] 우리은하보다 230배 큰 블랙홀 제트가 발견되다!
- [과학향기 Story] ‘화마’ 불러오는 전기차 화재…피해 심각한 이유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