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에피소드
에피소드
지퍼에 옷이 끼었을 때 쉽게 빼는 법 / 왜 우리집 얼음은 투명하지 않을까?
<KISTI의 과학향기> 제30호 2003년 09월 19일
◈ 지퍼에 옷이 끼었을 때 쉽게 빼는 법
이불커버나 바지의 지퍼에 천이 끼어 고생해 본 분들이 가끔 있을 것이다. 대개 지퍼는 한번 물리면 좀처럼 빠지지 않고 같은 자리에서 반복해서 물리게 된다. 이 때 간단한 일자 드라이버를 준비하여, 지퍼와 끼인 천 사이에 넣고 헝겊을 잡아 당긴다. 포인트는 드리이버를 약간 비틀면 되는데, 이렇게 하면 지퍼의 슬라이더가 들리면서 천이 쉽게 빠진다. 지퍼의 슬라이더는 대부분 윗부분에만 붙어 있다고 한다. 이 때문에 슬라이더가 없는 아랫부분에 드라이버를 꽂음으로써 슬라이더와 옷 사이를 벌어지게 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그렇다고 너무 힘을 주어 비틀면 지퍼가 고장날 수 있으니 적당한 힘 조절이 필요하다.
◈ 왜 우리집 얼음은 투명하지 않을까?
집에 있는 냉장고에서 물을 얼리면 투명하지 않은 희뿌연 얼음이 만들어 진다. 반면, 시장에서 파는 큰 얼음은 투명하고 내부가 훤히 들여다 보인다. 이유가 뭘까? 얼음 속에는 공기의 작은 구멍이 수없이 갇혀 있는데, 얼음의 투명도는 얼음 속 공기의 양에 따라 결정된다. 수돗물 속에는 공기가 녹아 있어, 얼리면 공기가 갇힌 채 얼음이 만들어 진다. 그래서 얼음이 투명하지 못한 것. 하지만 얼음 제조 회사에서는 물을 휘저어 물 속의 공기를 내보내면서 천천히 얼게 하므로 속까지 환히 보이는 맑은 얼음을 만들 수 있다. 물론 이 파는 얼음도 중심부에는 거품이 생겨 약간 흰빛을 띤다.
이불커버나 바지의 지퍼에 천이 끼어 고생해 본 분들이 가끔 있을 것이다. 대개 지퍼는 한번 물리면 좀처럼 빠지지 않고 같은 자리에서 반복해서 물리게 된다. 이 때 간단한 일자 드라이버를 준비하여, 지퍼와 끼인 천 사이에 넣고 헝겊을 잡아 당긴다. 포인트는 드리이버를 약간 비틀면 되는데, 이렇게 하면 지퍼의 슬라이더가 들리면서 천이 쉽게 빠진다. 지퍼의 슬라이더는 대부분 윗부분에만 붙어 있다고 한다. 이 때문에 슬라이더가 없는 아랫부분에 드라이버를 꽂음으로써 슬라이더와 옷 사이를 벌어지게 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그렇다고 너무 힘을 주어 비틀면 지퍼가 고장날 수 있으니 적당한 힘 조절이 필요하다.
◈ 왜 우리집 얼음은 투명하지 않을까?
집에 있는 냉장고에서 물을 얼리면 투명하지 않은 희뿌연 얼음이 만들어 진다. 반면, 시장에서 파는 큰 얼음은 투명하고 내부가 훤히 들여다 보인다. 이유가 뭘까? 얼음 속에는 공기의 작은 구멍이 수없이 갇혀 있는데, 얼음의 투명도는 얼음 속 공기의 양에 따라 결정된다. 수돗물 속에는 공기가 녹아 있어, 얼리면 공기가 갇힌 채 얼음이 만들어 진다. 그래서 얼음이 투명하지 못한 것. 하지만 얼음 제조 회사에서는 물을 휘저어 물 속의 공기를 내보내면서 천천히 얼게 하므로 속까지 환히 보이는 맑은 얼음을 만들 수 있다. 물론 이 파는 얼음도 중심부에는 거품이 생겨 약간 흰빛을 띤다.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나무 한 그루는 이산화탄소 얼마나 줄여줄까?
- 숲은 지구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때문에 나무 심기를 권장해 온실가스를 줄이려는 노력도 진행 중이다. 그런데 다양한 종류의 나무들이 이산화탄소를 얼마나 줄여줄까?우리나라 산림의 탄소흡수량을 객관적으로 조사한 결과가 발표됐다. 산림과학원이 40년간 전국 3,000여 개의 숲을 조사한 결과, 산림 단위 면적당 연간 10.4톤...
-
- 지퍼에 옷이 끼었을 때 쉽게 빼는 법 / 왜 우리집 얼음은 투명하지 않을까?
- ◈ 지퍼에 옷이 끼었을 때 쉽게 빼는 법이불커버나 바지의 지퍼에 천이 끼어 고생해 본 분들이 가끔 있을 것이다. 대개 지퍼는 한번 물리면 좀처럼 빠지지 않고 같은 자리에서 반복해서 물리게 된다. 이 때 간단한 일자 드라이버를 준비하여, 지퍼와 끼인 천 사이에 넣고 헝겊을 잡아 당긴다. 포인트는 드리이버를 약간 비틀면 되는데, 이렇게 하면 지퍼의 슬라이...
-
- 질문에만 답해도 꿀잠 여부 예측해주는 알고리즘 개발
- 김재경 KAIST 수리과학과 교수와 주은연‧최수정 삼성서울병원 교수, 김지현 이화여대 서울병원 교수팀이 번거로운 검사 없이도 수면 질환 위험도를 예측하는 알고리즘 ‘슬립스(SLEEPS‧SimpLe quEstionnairE Predicting Sleep disorders)’를 개발하고 공개했다. 수면은 정신적‧신체적 건강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 성인 ...
아주 좋은 정보입니다.
2021-09-27
답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