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에피소드
에피소드
전자기기와 친한 어르신, 우울증은 낮게, 인지기능은 높게 나온다
<KISTI의 과학향기> 제3902호 2023년 10월 23일스마트폰, 키오스크 같은 전자기기와 친한 고령자들은 우울증 증상이 낮고 인지기능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노현웅 아주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팀은 평균 73세 고령자 7,988명을 대상으로 한 2020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해 고령자들의 디지털 문해력이 좋을수록 우울감을 줄이고, 인지기능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디지털 문해력을 ‘소통(디지털 기기로 메시지를 주고받는 능력)’, ‘정보(디지털 기기로 정보 검색 능력)’, ‘미디어(디지털 기기로 음악 감상 및 영화 시청 능력)’, ‘전자 금융(디지털 기기로 은행 업무 및 물품 구입 능력)’ 등 크게 4개 범위로 나눠 분석했다. 분석 결과 고령자 중 86%는 디지털 전자금융 활용 능력이, 70%는 디지털 소통능력이 부족했다. 이어 63%는 디지털 정보 활용 능력이, 60%는 디지털 미디어 활용 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연구팀은 다중회귀분석으로 나이와 성별, 교육과 결혼, 직업과 취미, 흡연과 만성질환의 수 등을 보정했다. 그 결과 고령자의 디지털 문해력이 높을수록 우울증은 감소하고 인지기능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디지털 전자금융과 미디어 활용 능력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고령자에게 교육 프로그램과 친화적인 디지털 도구 개발 등으로 디지털 기기를 훈련시키는 것이 우울증 예방과 치료, 인지 기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 분석했다. 노현웅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현대 사회의 다양한 디지털 기기 활용이 고령자의 우울을 줄이고 인지 기능을 향상시킬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했다”며 “청소년이나 젊은이들의 경우 지나친 전자기기 사용이 안 좋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지만, 고령자는 디지털 문해력 향상을 통한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해당 연구 결과는 정신의학 최신연구(Frontiers in Psychiatry)에 게재됐다.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나무 한 그루는 이산화탄소 얼마나 줄여줄까?
- 숲은 지구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때문에 나무 심기를 권장해 온실가스를 줄이려는 노력도 진행 중이다. 그런데 다양한 종류의 나무들이 이산화탄소를 얼마나 줄여줄까?우리나라 산림의 탄소흡수량을 객관적으로 조사한 결과가 발표됐다. 산림과학원이 40년간 전국 3,000여 개의 숲을 조사한 결과, 산림 단위 면적당 연간 10.4톤...
-
- AI 성능 높이는 방법? 우리 뇌에 있었다!
- 기초과학연구원(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이창준 단장과 ‘수리 및 계산 과학 연구단’ 데이터 사이언스 그룹 차미영 CI(Chief Investigator·KAIST 전산학부 교수) 공동 연구팀이 AI의 효율성을 크게 높이는 방법을 찾았다. 바로 뇌의 해마에서 일어나는 기억 통합의 생물학적 특징을 활용하는 것이다. 인공지능은 2017년 구글...
-
- 멀미는 외부 자극과 내부 감각의 부조화
- 멀미는 왜 생길까. 우리 몸은 시각, 전정 감각, 체성 감각, 이 세 가지 감각이 일치하지 않을 때 멀미가 생긴다. 전정 감각은 귓속의 반고리관과 전정기관에서 느끼는 감각이고, 체성 감각은 발바닥으로 느끼는 감각이다. 일단 눈으로 사물을 보면 시신경을 통해 대뇌와 소뇌로 정보가 보내진다. 정보를 받은 중추신경계는 균형을 잡으라고 각 감각 기관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