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에피소드
에피소드
멀미는 외부 자극과 내부 감각의 부조화
<KISTI의 과학향기> 제2843호 2017년 01월 16일멀미는 왜 생길까. 우리 몸은 시각, 전정 감각, 체성 감각, 이 세 가지 감각이 일치하지 않을 때 멀미가 생긴다. 전정 감각은 귓속의 반고리관과 전정기관에서 느끼는 감각이고, 체성 감각은 발바닥으로 느끼는 감각이다.
일단 눈으로 사물을 보면 시신경을 통해 대뇌와 소뇌로 정보가 보내진다. 정보를 받은 중추신경계는 균형을 잡으라고 각 감각 기관으로 신호를 보낸다. 체성 감각에서는 발바닥이 바닥을 딛는 느낌을 소뇌로 전달해 균형을 잡고, 전정 감각에서는 몸을 움직이면 함께 움직이는 림프액으로 균형을 잡는다.
멀미는 흔들리는 외부 자극과 내부 감각이 일치하지 않을 때 일어나는 것이다. 자동차나 버스를 탈 때 멀미가 심하다면 흔들림이 적은 앞좌석에 앉는 것이 좋고, 배는 가운데가 흔들림이 적다. 또 멀미를 완화하는 패치형 멀미약은 4시간 전, 먹는 약은 1시간 전에 먹어야 효과가 있다.
일단 눈으로 사물을 보면 시신경을 통해 대뇌와 소뇌로 정보가 보내진다. 정보를 받은 중추신경계는 균형을 잡으라고 각 감각 기관으로 신호를 보낸다. 체성 감각에서는 발바닥이 바닥을 딛는 느낌을 소뇌로 전달해 균형을 잡고, 전정 감각에서는 몸을 움직이면 함께 움직이는 림프액으로 균형을 잡는다.
멀미는 흔들리는 외부 자극과 내부 감각이 일치하지 않을 때 일어나는 것이다. 자동차나 버스를 탈 때 멀미가 심하다면 흔들림이 적은 앞좌석에 앉는 것이 좋고, 배는 가운데가 흔들림이 적다. 또 멀미를 완화하는 패치형 멀미약은 4시간 전, 먹는 약은 1시간 전에 먹어야 효과가 있다.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나무 한 그루는 이산화탄소 얼마나 줄여줄까?
- 숲은 지구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때문에 나무 심기를 권장해 온실가스를 줄이려는 노력도 진행 중이다. 그런데 다양한 종류의 나무들이 이산화탄소를 얼마나 줄여줄까?우리나라 산림의 탄소흡수량을 객관적으로 조사한 결과가 발표됐다. 산림과학원이 40년간 전국 3,000여 개의 숲을 조사한 결과, 산림 단위 면적당 연간 10.4톤...
-
- 멀미는 외부 자극과 내부 감각의 부조화
- 멀미는 왜 생길까. 우리 몸은 시각, 전정 감각, 체성 감각, 이 세 가지 감각이 일치하지 않을 때 멀미가 생긴다. 전정 감각은 귓속의 반고리관과 전정기관에서 느끼는 감각이고, 체성 감각은 발바닥으로 느끼는 감각이다. 일단 눈으로 사물을 보면 시신경을 통해 대뇌와 소뇌로 정보가 보내진다. 정보를 받은 중추신경계는 균형을 잡으라고 각 감각 기관으로 ...
-
- AI 성능 높이는 방법? 우리 뇌에 있었다!
- 기초과학연구원(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이창준 단장과 ‘수리 및 계산 과학 연구단’ 데이터 사이언스 그룹 차미영 CI(Chief Investigator·KAIST 전산학부 교수) 공동 연구팀이 AI의 효율성을 크게 높이는 방법을 찾았다. 바로 뇌의 해마에서 일어나는 기억 통합의 생물학적 특징을 활용하는 것이다. 인공지능은 2017년 구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