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카드뉴스
카드뉴스
똑똑한 새일수록 노래 잘한다? 외국어 마스터 비결, 새소리에 있다!
2023년 10월 23일1
KISTI의 과학향기
똑똑한 새일수록 노래 잘한다?
외국어 마스터 비결,
새소리에 있다!
글 김청한 과학칼럼니스트
디자인 동아에스앤씨
똑똑한 새일수록 노래 잘한다?
외국어 마스터 비결,
새소리에 있다!
글 김청한 과학칼럼니스트
디자인 동아에스앤씨
2
새소리가 높다.
당신이 그리운 오후,
꾸다 만 꿈처럼 홀로 남겨진 오후가 아득하다.
잊는 것도 사랑일까.
꾸다 만 꿈처럼 홀로 남겨진 오후가 아득하다.
잊는 것도 사랑일까.
- 고영민 시인, <반음계> 중
3
새소리는 많은 이들이 좋아하는 자연의 소리 중 하나다.
하루의 시작, 그리움, 기쁨, 행복 등
사람들은 새소리를 들으며 수많은 감정을 느낀다.
하루의 시작, 그리움, 기쁨, 행복 등
사람들은 새소리를 들으며 수많은 감정을 느낀다.
4
이러한 새의 노랫소리가
과학적으로도 큰 의의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노래를 잘하는 새일수록 발성학습과
문제해결능력이 뛰어나다는 분석이다.
이러한 새의 노랫소리가
과학적으로도 큰 의의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노래를 잘하는 새일수록 발성학습과
문제해결능력이 뛰어나다는 분석이다.
5
미국 록펠러대 연구팀은
총 23종, 214마리의 조류를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이 중 21종은 연구를 위해 야생에서 직접 포획했다.
미국 록펠러대 연구팀은
총 23종, 214마리의 조류를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이 중 21종은 연구를 위해 야생에서 직접 포획했다.
6
발성학습은 반복적인 연습으로
특정한 울음소리나 노래를 학습하는 것이다.
연구진은 새의 발성학습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얼마나 다양한 노래를 부르는지,
다른 종의 노랫소리를 따라 할 수 있는지 등
몇 가지 기준을 제시했다.
발성학습은 반복적인 연습으로
특정한 울음소리나 노래를 학습하는 것이다.
연구진은 새의 발성학습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얼마나 다양한 노래를 부르는지,
다른 종의 노랫소리를 따라 할 수 있는지 등
몇 가지 기준을 제시했다.
7
분석 결과 찌르레기, 어치, 개똥지빠귀 등이
뛰어난 발성학습능력을 가진 것으로 밝혀졌다.
이어 연구진은 발성학습능력과 문제해결능력 사이에
얼마나 큰 연관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인지 테스트 7가지를 진행했다.
분석 결과 찌르레기, 어치, 개똥지빠귀 등이
뛰어난 발성학습능력을 가진 것으로 밝혀졌다.
이어 연구진은 발성학습능력과 문제해결능력 사이에
얼마나 큰 연관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인지 테스트 7가지를 진행했다.
8
새가 유리병의 코르크 마개를 제거하고
병 속의 먹이를 먹는 방식으로
문제해결 능력을 조사한 것이다.
막대기나 바닥을 당겨 숨겨진 먹이를 찾는 방식도 있었다.
새가 유리병의 코르크 마개를 제거하고
병 속의 먹이를 먹는 방식으로
문제해결 능력을 조사한 것이다.
막대기나 바닥을 당겨 숨겨진 먹이를 찾는 방식도 있었다.
9
실험 결과, 발성학습능력이 뛰어난 종들은
장애물을 제거하거나 분리하는 등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많이 떠올렸다.
발성학습능력과 실제 문제해결능력 사이에
강한 연관성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이다.
실험 결과, 발성학습능력이 뛰어난 종들은
장애물을 제거하거나 분리하는 등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많이 떠올렸다.
발성학습능력과 실제 문제해결능력 사이에
강한 연관성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이다.
10
발성학습능력이 높은 새일수록
뇌의 크기가 크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연구진은 “발성학습능력이 좋은 새들은
더 많은 두개골 공간을 갖도록 진화했을 것”이라며
관련 유전자 및 뇌 영역과 발성학습의 관계를 추가로
연구할 것이라 밝혔다.
발성학습능력이 높은 새일수록
뇌의 크기가 크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연구진은 “발성학습능력이 좋은 새들은
더 많은 두개골 공간을 갖도록 진화했을 것”이라며
관련 유전자 및 뇌 영역과 발성학습의 관계를 추가로
연구할 것이라 밝혔다.
11
한편 새의 노래 실력이 언어학습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연구도 있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부설 한국뇌연구원 연구진이
지난 2017년 금화조를 관찰한 결과다.
한편 새의 노래 실력이 언어학습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연구도 있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부설 한국뇌연구원 연구진이
지난 2017년 금화조를 관찰한 결과다.
12
금화조와 카나리아, 꾀꼬리 같은 명금류의 뇌에는
노래 학습과 연관된 일명 ‘X 영역’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해당 연구가 있기 전까지
그 정확한 위치는 알 수 없었다.
금화조와 카나리아, 꾀꼬리 같은 명금류의 뇌에는
노래 학습과 연관된 일명 ‘X 영역’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해당 연구가 있기 전까지
그 정확한 위치는 알 수 없었다.
13
이를 알기 위해 연구진은 명금류의 수컷 새끼가
아빠의 노랫소리를 학습하는 과정을 분석했다.
그 결과 학습, 인식과 연관된 대뇌기저핵에
미지의 X 영역이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새끼가 대뇌기저핵의 신경세포를 이용해
정확한 음정을 습득한다는 것이 연구진의 분석.
이를 알기 위해 연구진은 명금류의 수컷 새끼가
아빠의 노랫소리를 학습하는 과정을 분석했다.
그 결과 학습, 인식과 연관된 대뇌기저핵에
미지의 X 영역이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새끼가 대뇌기저핵의 신경세포를 이용해
정확한 음정을 습득한다는 것이 연구진의 분석.
14
놀랍게도 이는 사람의 외국어 학습과도 연관성이 있다.
영유아기 사람은 새처럼 비브라토를 활용해 음성 패턴을 학습한다.
이를 통해 외국어 발음과 언어 구조 등을
수월하게 습득한다는 것이다.
놀랍게도 이는 사람의 외국어 학습과도 연관성이 있다.
영유아기 사람은 새처럼 비브라토를 활용해 음성 패턴을 학습한다.
이를 통해 외국어 발음과 언어 구조 등을
수월하게 습득한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성인에게도 이러한 습득법을 적용해
외국어 공부에 도움을 줄 계획이다.
외국어 공부에 도움을 줄 계획이다.
15
노래를 부르는 것은 지능과도 밀접한 고등 행위다.
패턴을 익히고 떨림을 따라 하는
새들의 노랫소리에 과학자들이 주목한 것도
어찌 보면 당연한 일.
새의 노래는 우리의 심금을 울릴 뿐만 아니라
연구 소재로도 훌륭한 소리인 것 같다.
노래를 부르는 것은 지능과도 밀접한 고등 행위다.
패턴을 익히고 떨림을 따라 하는
새들의 노랫소리에 과학자들이 주목한 것도
어찌 보면 당연한 일.
새의 노래는 우리의 심금을 울릴 뿐만 아니라
연구 소재로도 훌륭한 소리인 것 같다.
추천 콘텐츠
인기 카드뉴스
-
- 개복치, 정말 삐끗해도 죽을까? 돌연사 전문 개복치의 억울한 진실
- 개복치는 쟁반같이 넓적한 몸통에 뾰족한 지느러미가 위아래로 붙어있다. 이러한 못난 생김새 때문에 복어과를 뜻하는 ‘복치’에 대상을 낮출 때 쓰는 접두사 ‘개’가 붙어 개복치로 명명됐다. 라틴어로 맷돌을 뜻하는 학명 Mola mola도 이러한 개복치의 생김새에서 유래했다. 이러한 신기한 생김새를 가진 개복치는 일명 ‘돌연사’ 물고기로도 유명하다. 햇...
-
- 새콤달콤한 딸기는 과일이 아니다? 우리가 알던 식물 상식, 오해입니다만?!
- 겨울은 딸기의 계절이다. 딸기는 특유의 새콤달콤한 맛 덕분에 케이크, 잼, 주스, 빙수 등 디저트 재료로서 맹위를 떨치고 있다. 이런 딸기를 향한 대표적인 착각이 하나 있다. 바로 ‘딸기가 과일이라는 것’이다. 딸기는 과일이 아닌 ‘채소’로 분류된다. 여기서 과일과 채소의 차이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사과, 배와 같은 과일은 나무에서 나는 여러해살...
-
- UFO 외계인 정말 존재할까? 미국 NASA, 농담 아닌 ‘진심모드’로 찾는 중
- 최초의 SF영화라고 불리는 ‘달 세계 여행’에는 곤충형 외계인 ‘셀레나이트’가 등장한다. 1902년 이 영화가 개봉한 이래 수많은 SF 작품에서 외계인이 동반자 혹은 몬스터로 등장하곤 했다. 외계인을 향한 관심은 단지 창작물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실제 UFO를 연구하는 모임이 있는가 하면, 외계 지적생명체 탐사프로그램(SETI)과 같은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