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에피소드
에피소드
AI 성능 높이는 방법? 우리 뇌에 있었다!
<KISTI의 과학향기> 제3014호 2023년 12월 04일기초과학연구원(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이창준 단장과 ‘수리 및 계산 과학 연구단’ 데이터 사이언스 그룹 차미영 CI(Chief Investigator·KAIST 전산학부 교수) 공동 연구팀이 AI의 효율성을 크게 높이는 방법을 찾았다. 바로 뇌의 해마에서 일어나는 기억 통합의 생물학적 특징을 활용하는 것이다.
인공지능은 2017년 구글(Google)에서 개발한 트랜스포머(Transformer) 모델을 시작으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룩했다. 챗GPT 같은 대규모 언어처리 모델의 토대가 되는 트랜스포머 모델은 장 속 단어와 같은 시계열 데이터 내의 관계를 추적해 맥락과 의미를 학습한다.
인간의 뇌 변연계에 있는 해마에서는 단기 기억이 장기 기억으로 전환되며, NMDA 수용체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NMDA 수용체는 뇌의 학습, 기억, 공간 인식과 관련된 신경세포 연결 부위인 시냅스후 막에 위치한 특별한 종류의 이온채널 글루탐산 수용체다. 평소에는 닫혀있다가 글루탐산과 결합 시에만 이온이 지나가는 통로가 되어 신경 연결의 강도를 조절하고 기억 형성에 관여한다.
연구팀은 이 해마에서 단기 기억을 장기 기억으로 전환하는 매커니즘에 주목했다. 특정 조건에서만 통로가 되는 NMDA 수용체의 비선형적인 특징을 모사한 새로운 함수를 개발해 트랜스포머 모델에 적용했다. 그 결과 NMDA 수용체 특징을 모방한 AI 모델은 우리 뇌 속 해마의 장소세포처럼 위치를 인지하는 기능을 형성했고, 기존 모델보다 기억 통합 능력이 크게 향상됐다.
연구를 진행한 이창준 단장은 “인간의 뇌의 작동 원리를 더 깊게 이해하는 것을 바탕으로 더 발전된 인공지능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차미영 CI도 “이번에 개발한 인공지능 모델을 통해 향후 인간과 유사한 방식으로 정보를 처리하고 기억하는 저비용 고성능 인공지능 시스템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해당 연구 결과는 미국 AI 학술대회인 ‘신경정보처리시스템학회(NeurIPS)’에 채택됐다.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AI 성능 높이는 방법? 우리 뇌에 있었다!
- 기초과학연구원(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이창준 단장과 ‘수리 및 계산 과학 연구단’ 데이터 사이언스 그룹 차미영 CI(Chief Investigator·KAIST 전산학부 교수) 공동 연구팀이 AI의 효율성을 크게 높이는 방법을 찾았다. 바로 뇌의 해마에서 일어나는 기억 통합의 생물학적 특징을 활용하는 것이다. 인공지능은 2017년 구글...
-
- 한 번 쓰면 부드러워져 재사용, 염증 걱정 없는 주삿바늘 개발
- KAIST 정재웅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와 정원일 의과학대학원 교수 공동 연구팀이 환자의 건강과 의사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유연한 주삿바늘을 개발했다. 이 주삿바늘은 체온으로 유연해지는 특성을 가져, 주사 삽입 부위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보장하는 동시에, 바늘에 의한 혈관 벽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맥주사는 혈관에 약물을 직접 ...
-
- 실제 팔다리처럼 움직이는 ‘하이브리드’ 생체 신경 인터페이스 개발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이상훈 로봇 및 기계전자공학과 교수팀이 생물학적 인터페이스와 말초신경 인터페이스를 결합한 생체 인터페이싱 기술, ‘하이브리드 바이오닉 신경 인터페이스’를 개발했다. 최근 당뇨 같은 성인병이 증가하면서 사고뿐만 아니라 당뇨로 인한 사지 절단 환자 수가 급격히 늘고 있다. 사지 절단은 영구적인 물리적인 장애로, 신체 상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