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카드뉴스
카드뉴스
모기는 빨간색을 좋아해? 과학으로 알아보는 모기의 취향
2022년 07월 25일1
모기는 빨간색을 좋아해?
과학으로 알아보는 모기의 취향
모기는 빨간색을 좋아해?
과학으로 알아보는 모기의 취향
2
눈부시게 밝은 태양과 넘실거리는 바다,
피서와 로망의 계절 여름에도 불청객은 존재한다.
눈부시게 밝은 태양과 넘실거리는 바다,
피서와 로망의 계절 여름에도 불청객은 존재한다.
앵앵거리는 소음과 가려움으로
불쾌감을 안기는 모기가 대표적이다.
불쾌감을 안기는 모기가 대표적이다.
3
그런데 여럿이 함께 있다 보면
유독 모기에게 인기 많은(?) 사람이 있다.
모기도 사람을 가리는 걸까?
4
최근 워싱턴대 연구진은
모기가 특별히 좋아하는 색이 있다고 발표했다.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따르면
모기는 주로 붉은 계열(오렌지, 빨강)의 색을 좋아한다.
모기는 주로 붉은 계열(오렌지, 빨강)의 색을 좋아한다.
5
워싱턴대 연구진은 모기의 움직임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간 3D 추적 카메라와 풍동을 설치했다.
바닥에 여러 색상의 점을 배치해
모기의 선호도를 분석하고자 한 것이다.
모기의 선호도를 분석하고자 한 것이다.
6
연구진이 풍동 속에 이산화탄소를 집어넣기 전까진
모기는 유의미한 움직임을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이산화탄소가 주입되자 모기의 움직임이
사뭇 달라졌다.
사뭇 달라졌다.
이산화탄소는 사람의 날숨에 포함되는 기체다.
7
모기는 색상에 따라 뚜렷하게 차이나는 움직임을 보였다.
녹색, 보라색, 파란색은 무시했지만
빨간색, 오렌지색, 검은색, 옥색(cyan)을 향해 날아간 것이다.
빨간색, 오렌지색, 검은색, 옥색(cyan)을 향해 날아간 것이다.
8
결국 모기는 후각을 먼저 활용해 목표물의 존재를 확인한 다음,
시각을 통해 보다 정확한 위치를 찾아간다는 결론이다.
그런데 왜 하필 빨간 계열 색들이
모기의 주목을 끌고 있을까?
모기의 주목을 끌고 있을까?
9
모든 색깔은 각기 다른 빛의 파장을 가진다.
예를 들어 모기들이 좋아하는 빨간색, 주황색, 검은색의 경우
상대적으로 긴 파장을 갖고 있다.
상대적으로 긴 파장을 갖고 있다.
10
그런데 긴 파장의 빛을 가진 색(빨간 계열)은
사람의 피부와도 비슷하다.
결국 모기 입장에선 이산화탄소를 인지한 후,
긴 파장을 가진 빛을 따라가면
목표물인 사람의 피부를 만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이다.
긴 파장을 가진 빛을 따라가면
목표물인 사람의 피부를 만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이다.
11
한편 모기가 목표물을 포착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 냄새가 있다.
후각기관이 발달한 모기는
이산화탄소 외에도 땀, 암모니아 등의 냄새를
잘 맡는 편이다.
이산화탄소 외에도 땀, 암모니아 등의 냄새를
잘 맡는 편이다.
12
때문에 땀을 많이 흘리거나
체취가 독특한 사람은 모기의 1차 공격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다.
신진대사가 빨라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많은 아이 역시
모기의 후각기관을 벗어나기 쉽지 않다.
모기의 후각기관을 벗어나기 쉽지 않다.
13
한편 우리 몸에서 나는 열도
모기를 끌어들이는 단서가 된다.
술을 마시거나 운동 직후 열과 땀이 많아진 사람이
모기에 더 잘 물리는 이유다.
모기에 더 잘 물리는 이유다.
14
결과적으로 이산화탄소, 땀, 열, 체취 그리고 색상 등의 여러 요인이
모기의 취향을 결정한다고 볼 수 있다.
숨을 쉬지 않을 순 없으니,
되도록 자주 씻고 주변을 청결하게 하는 것이
그나마 모기에 물리지 않는 방법.
되도록 자주 씻고 주변을 청결하게 하는 것이
그나마 모기에 물리지 않는 방법.
이왕이면 빨간옷 대신 녹색옷을 입는 것도
모기의 시선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겠다.
모기의 시선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겠다.

추천 콘텐츠
인기 카드뉴스
-
- 100kg 판다가 100g 새끼 낳는다? 거대한 판다가 작은 새끼를 낳는 이유는?
- 대한민국에서 판다 열풍이 불고 있다. 2020년 한국 최초 자연 번식으로 태어난 판다 공주 ‘푸바오’ 덕분이다. ‘행복을 주는 선물’을 뜻하는 푸바오가 본격적으로 인기를 끌게 된 것은 2021년, ‘판다 할아버지’ 강철원 사육사와 함께 찍은 유튜브 영상 덕분이었다. 푸바오가 강 씨와 팔짱 데이트를 한 영상은 조회수 1,950만 회를, 강 씨의 다리에...
-
- 개복치, 정말 삐끗해도 죽을까? 돌연사 전문 개복치의 억울한 진실
- 개복치는 쟁반같이 넓적한 몸통에 뾰족한 지느러미가 위아래로 붙어있다. 이러한 못난 생김새 때문에 복어과를 뜻하는 ‘복치’에 대상을 낮출 때 쓰는 접두사 ‘개’가 붙어 개복치로 명명됐다. 라틴어로 맷돌을 뜻하는 학명 Mola mola도 이러한 개복치의 생김새에서 유래했다. 이러한 신기한 생김새를 가진 개복치는 일명 ‘돌연사’ 물고기로도 유명하다. 햇...
-
- 모기는 빨간색을 좋아해? 과학으로 알아보는 모기의 취향
- 1 눈부시게 밝은 태양과 넘실거리는 바다, 피서와 로망의 계절 여름에도 불청객은 존재한다. 앵앵거리는 소음과 가려움으로 불쾌감을 안기는 모기가 대표적이다. 2 그런데 여럿이 함께 있다 보면 유독 모기에게 인기 많은(?) 사람이 있다. 모기도 사람을 가리는 걸까? 3 최근 워싱턴대 연구진은 모기가 특별히 좋아하는 색이 있다고 발표했다. 국제학술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