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카드뉴스
카드뉴스
더 편하게, 더 공평하게! 40여 년 만에 선보인 차세대 우주복 AxEMU
2023년 04월 10일1
KISTI의 과학향기
더 편하게, 더 공평하게!
40여 년 만에 선보인
차세대 우주복 AxEMU
글 김청한 과학칼럼니스트
디자인 동아S&C
더 편하게, 더 공평하게!
40여 년 만에 선보인
차세대 우주복 AxEMU
글 김청한 과학칼럼니스트
디자인 동아S&C
2
우주인들이 입는 우주복은
과학기술의 결정체다.
과학기술의 결정체다.
3
우주먼지, 자외선 등 각종 위협에서 우주인을 보호하고
압력과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압력과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4
산소 공급, 이산화탄소 제거, 통신 같은
다양한 기능 역시 빠질 수 없다.
다양한 기능 역시 빠질 수 없다.
5
현재 사용 중인 우주복은
약 40년 전인 1980년대 초반에 제작됐다.
약 40년 전인 1980년대 초반에 제작됐다.
6
우주인 보호라는 기능엔 충실하지만,
무겁고 불편해 많은 제약이 있었다.
무겁고 불편해 많은 제약이 있었다.
7
이에 미 항공우주국(NASA)은
새로운 달 탐사 프로젝트인
‘아르테미스 미션’을 앞두고,
차세대 우주복 AxEMU(Axiom Extravehicular Mobility Unit)을 선보였다.
새로운 달 탐사 프로젝트인
‘아르테미스 미션’을 앞두고,
차세대 우주복 AxEMU(Axiom Extravehicular Mobility Unit)을 선보였다.
8
AxEMU는 오는 2025년 출발 예정인
아르테미스 3호부터 적용된다.
아르테미스 3호부터 적용된다.
새 우주복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달라졌을까?
어떻게 달라졌을까?
9
가장 큰 차이는 유연성이다.
기존 우주복은 부피가 크고 뻣뻣해,
부자연스러운 동작을 유발하곤 했다.
기존 우주복은 부피가 크고 뻣뻣해,
부자연스러운 동작을 유발하곤 했다.
10
반면 AxEMU는 시연 영상에서
쪼그려 앉고 물체를 쉽게 집으며, 손가락을 활발히 움직였다.
쪼그려 앉고 물체를 쉽게 집으며, 손가락을 활발히 움직였다.
기존 우주복보다 훨씬
자연스러운 동작이었다.
자연스러운 동작이었다.
11
무게 역시 기존 80kg에서 55kg로,
25kg나 줄였다.
25kg나 줄였다.
그동안 소재 공학이 발달해,
더 유연하면서도 가벼운 소재를
개발해낸 덕이다.
더 유연하면서도 가벼운 소재를
개발해낸 덕이다.
12
우주복을 제작한 액시엄 스페이스는
“머리끝에서 발끝까지 전부 새롭게 설계했다”고 밝혔다.
“머리끝에서 발끝까지 전부 새롭게 설계했다”고 밝혔다.
이번 우주복은 특히 단열 기능을 강화해
영하 200도까지 내려가는
달 남극의 환경도 능히 버텨낼 수 있다.
영하 200도까지 내려가는
달 남극의 환경도 능히 버텨낼 수 있다.
13
달 남극에는 중요한 현지 자원인
얼음이 존재한다.
얼음이 존재한다.
우수한 단열 성능을 바탕으로
달 남극을 제대로 탐사할 수 있다면
탐사기지를 설치하고 운용할 가능성이 열린다.
달 남극을 제대로 탐사할 수 있다면
탐사기지를 설치하고 운용할 가능성이 열린다.
14
이뿐만이 아니다.
새로운 헬멧에 장착된 헤드라이트와 카메라는
압도적인 성능을 바탕으로 우주인의 임무를 돕고
그 과정을 꼼꼼히 기록할 수 있다.
압도적인 성능을 바탕으로 우주인의 임무를 돕고
그 과정을 꼼꼼히 기록할 수 있다.
15
액시엄 스페이스는 테스트를 통해
우주복 성능을 미리 확인했다고 밝혔다.
우주복 성능을 미리 확인했다고 밝혔다.
배낭처럼 보이는 등 쪽의 장치엔
산소통과 에어컨의 기능을 합친 생명유지장치를 탑재했다.
산소통과 에어컨의 기능을 합친 생명유지장치를 탑재했다.
16
무엇보다 AxEMU가 주목받는 지점은
여성 우주비행사가 입기 적합하다는 점이다.
여성 우주비행사가 입기 적합하다는 점이다.
지금껏 달에 발을 디딘 우주인은 모두 백인 남성이었으며,
기존 우주복도 남성 사이즈로 제작돼
기존 우주복도 남성 사이즈로 제작돼
여성에게 적합하지 않았다.
17
이번 아르테미스 미션의 핵심 목표는
여성과 유색인종을 달에 착륙시키는 일이다.
여성과 유색인종을 달에 착륙시키는 일이다.
이를 위해 NASA는 2008년부터
4억 달러를 들여 새 우주복 제작을 시도해 왔다.
4억 달러를 들여 새 우주복 제작을 시도해 왔다.
18
그 결과 제작된 AxEMU은
미국 성인의 체형 중 90% 이상을
소화할 수 있다.
미국 성인의 체형 중 90% 이상을
소화할 수 있다.
19
특히 3D 프린팅을 통해 정교하게
치수를 맞추는 기술이 반영됐다.
치수를 맞추는 기술이 반영됐다.
영상 속 우주복은 검은색+주황색이지만,
실제 우주복은 단열을 고려해
흰색으로 제작될 예정이다.
실제 우주복은 단열을 고려해
흰색으로 제작될 예정이다.
20
50여 년만의 달 탐사가
유의미한 성과를 거둘 수 있을까?
새로운 우주복에 거는 기대가 뜨겁다.
유의미한 성과를 거둘 수 있을까?
새로운 우주복에 거는 기대가 뜨겁다.

추천 콘텐츠
인기 카드뉴스
-
- 개복치, 정말 삐끗해도 죽을까? 돌연사 전문 개복치의 억울한 진실
- 개복치는 쟁반같이 넓적한 몸통에 뾰족한 지느러미가 위아래로 붙어있다. 이러한 못난 생김새 때문에 복어과를 뜻하는 ‘복치’에 대상을 낮출 때 쓰는 접두사 ‘개’가 붙어 개복치로 명명됐다. 라틴어로 맷돌을 뜻하는 학명 Mola mola도 이러한 개복치의 생김새에서 유래했다. 이러한 신기한 생김새를 가진 개복치는 일명 ‘돌연사’ 물고기로도 유명하다. 햇...
-
- 새콤달콤한 딸기는 과일이 아니다? 우리가 알던 식물 상식, 오해입니다만?!
- 겨울은 딸기의 계절이다. 딸기는 특유의 새콤달콤한 맛 덕분에 케이크, 잼, 주스, 빙수 등 디저트 재료로서 맹위를 떨치고 있다. 이런 딸기를 향한 대표적인 착각이 하나 있다. 바로 ‘딸기가 과일이라는 것’이다. 딸기는 과일이 아닌 ‘채소’로 분류된다. 여기서 과일과 채소의 차이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사과, 배와 같은 과일은 나무에서 나는 여러해살...
-
- 암컷 개구리, 짝짓기하기 싫어 사망? ‘죽은 척’ 동물 주연상은 누구일까?
- 오는 11월 15일에는 국내 영화의 1년을 결산하는 대종상영화제 시상식이 열린다. 대종상을 비롯한 영화 시상식에서는 최고의 연기자를 뽑는 주연상이 매년 많은 이들의 관심을 받는다. 이러한 명연기는 사람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자연에서도 수많은 무명 배우가 자신만의 연기력을 뽐내고 있다. 이들의 특기는 바로, ‘죽은 척’이다. 첫 번째 후보는 암컷 유...